중국 리오프닝 효과 기대 이하…“IT 수요 부진 때문”

입력 2023-04-27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의 효과를 좌우하는 일부 요인들이 회복세로 전환됐지만 대(對)중국 수출 비중이 가장 큰 정보기술(IT) 수요가 살아나지 않아 한국경제 파급효과는 불투명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7일 발표한 ‘중국 리오프닝 효과의 주요 요인 분석과 대응’ 보고서를 통해 중국 리오프닝으로 한국경제가 긍정적 효과를 얻으려면 △부동산시장 회복 △산업생산의 본격 재가동 △소비심리의 개선 △IT 부문 수요회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부동산시장과 산업활동동향, 소비지표는 저점을 찍고 반등 추세이나 반도체 가격과 IT 제품 재고는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라며 “IT 수요가 살아나지 않으면 한국경제의 리오프닝 효과는 약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제공=대한상공희의소)

보고서는 중국의 신규주택가격이 지난해 11월부터 반등하여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16개월째 이어진 주택가격 하락세가 작년 11월부터 상승세로 전환했다. 올해 2월과 3월에는 각각 0.3%, 0.44%의 가격상승을 기록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부동산 및 관련 업종이 중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에 달해 부동산의 자산가치가 상승해 소비, 투자 등 실물지표가 개선될 경우 리오프닝 효과가 빠르게 가시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리오프닝 후 경제활동 정상화, 공장 재가동 등에 힘입어 3월 광공업 및 서비스업 생산이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광공업 생산은 리오프닝이 개시된 지난해 12월부터 반등해 올해 3월에는 전년동기비 3.9% 증가했고, 서비스업 생산은 소비회복에 힘입어 9.2% 큰 폭으로 상승했다.

경기 동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1월 50.1로 기준치 50을 넘어선 이후 2월 52.6, 3월 51.9를 기록하며 3개월 연속 긍정적 경기 전망을 보였다.

소비지표들도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했던 소매판매실적이 올해 1분기에는 5.8% 성장세로 돌아섰다.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심리를 나타내는 소비자신뢰지수도 2월에 94.7를 기록하며 작년 12월부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제공=대한상공희의소)

중국 리오프닝의 효과를 제약하는 가장 큰 요인은 IT 제품 수요 부진인 것으로 분석됐다. 반도체가 들어가는 IT 제품의 수요가 줄면서 관련 제품 재고가 쌓이고, 반도체 가격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반도체는 중국 수출 비중의 33.4%를 차지하는 주요 수출 품목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D램 가격은 2021년 정점을 찍은 이후 4월 현재 개당 1.6달러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중국 내 IT산업의 재고 현황도 2019년 말 대비 60% 이상 증가한 수준으로 여전히 과거 추세를 상회하고 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반도체 수출이 살아나지 않으면 중국 리오프닝의 효과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중국 부동산시장과 내수 소비가 살아나 중국 내 IT 재고가 소진되고 신규 수요가 발생하길 기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대한상의는 중국 리오프닝이 한국경제에 미칠 파급효과를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한 대응 방안으로 △소비회복 시차에 맞춘 제품별 수출전략 △권역별 대중국 마케팅 전략 △고위기술 중간재 중심의 공급망 확보 △문화·실버 등 서비스 시장 진출 △미·중 대립을 중국과의 기술 격차 확보의 기회로 활용하는 등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김동하 부산외대 교수는 “리오프닝에 따른 중국 내 내수시장 효과가 상반기 중에 외식업과 화장품, 의류, 엔터테인먼트 등의 분야에서 먼저 일어날 것”이라며 “가구, 대형가전, 인테리어 등은 부동산 경기회복에 따라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업종별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신흥경제부장은 “중국의 인구 고령화에 맞춰 문화, 실버 및 의료 등 다양한 서비스산업과 정부 주도 경기부양으로 확대될 정부 조달시장의 성장잠재력이 크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반도체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는 중국 시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중국과의 기술우위 확보 기회로 삼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