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 자청…경제 위기 극복 위한 '세일즈 외교' 펼쳐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첫 1년 행보를 압축한 표현이다.
윤 대통령은 올해 1월 '다보스 포럼'에 참석해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을 상대로 한국 투자를 요청하는 자리에서 처음으로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을 자청했다.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공급망 위기와 고물가 등으로 수출이 어려움을 겪자 직접 '세일즈 외교'에 나서는 등 영업사원을 자임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경제 활로를 찾기 위해 다방면에 걸쳐 직접 수출 해법을 모색해왔다. 윤 대통령은 최근까지 총 16차례의 비상경제민생회의와 4차례의 수출전략회의를 주재했고, 반도체·자동차 등 주요 수출 품목부터 이차전지, 바이오 등 미래산업 품목 등을 직접 챙겼다. 최근에는 대통령실 안보실을 중심으로 방산수출전략회의를 신설하기도 했다.
'세일즈 외교'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6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해 체코 등 유럽의 주요국 정상들과 만나면서 방산, 원전 등 세일즈 외교를 펼쳤던 윤 대통령은 같은 해 9월 유엔 연차총회를 계기로 방문한 미국에서도 첨단산업 분야에서 11억5000만 달러 규모의 글로벌 기업 투자 유치, 2억2000만 달러의 한미 글로벌 벤처펀드를 결성하는 등의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11월에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겸 총리의 방한을 계기로 290억 달러 규모의 양해각서(MOU)와 계약을 체결했고, 올해 1월 아랍에미리트(UAE) 국빈방문에서는 UAE 국부펀드 3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지난달 국빈방미에서는 넷플릭스 등 미국 기업으로부터 총 59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고, 양국 기관·기업 간 50건에 달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특히, 양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주도하는 협의체인 '차세대 핵심·신흥기술 대화' 신설이 이번 방미의 대표적 결과물로 꼽힌다. 한미는 이를 통해 바이오, 배터리, 반도체, 디지털, 양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도모하면서 첨단기술 분야의 표준을 함께 마련하는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7일 서울에서 열린 한일정상회담에서도 양국은 경제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양국은 사실상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우대국)'를 복원하기로 공식 선언했고, 한국의 반도체 제조업체와 일본의 소부장 기업들이 견고한 반도체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우주, 양자, 인공지능(AI), 디지털 바이오, 미래소재 등 첨단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공동연구와 연구개발(R&D) 협력과 관련해서도 논의가 이뤄졌다.
윤 대통령의 이같은 세일즈 외교에 힘입어 지난해 한국 수출은 글로벌 경제 위기로 인한 수출 감소세에도 역대 최고 실적인 6836억 달러를 달성하면서 홍콩을 제치고 세계 6위 수출국으로 올라섰다. 원전·방산·플랜트 등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도 따냈다. 방산에서는 K2 전차 등 역대 최대 규모 수주액인 173억 달러를 달성했고, 정유, 가스, 담수플랜트 등 242억 달러 규모의 수주도 체결했다.
또한, 윤 정부는 '정부'에서 '민간·기업·시장' 중심으로 경제 운용의 축을 바꾸고,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역동적 경제'를 목표로 경제 위기 극복에 나섰다. 정부는 이를 위해 민간의 혁신과 신사업을 가로막는 규제 개혁을 추진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올해 4월 말 기준으로 총 1027건의 규제가 개선됐으며, 이 중 152건을 분석한 결과 70조 원이 투자되는 경제적 효과를 창출됐다고 정부는 자평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미래차, 로봇 등 6대 국가첨단전략산업 육성도 추진했다. 앞서 윤석열 정부는 3월 6대 산업에 2026년까지 민간 주도로 550조 원을 투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경기도 용인에 세계 최대 규모의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전국에 15개 국가첨단산업단지를 새롭게 지정하기로 했다.
윤 정부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원전 생태계 복원에도 나섰다. 우선, 탈원전으로 인해 건설이 중단된 신한울 3·4호기의 건설을 재개하고, 원전 비중은 오는 2030년까지 기존 계획이었던 25.0%에서 32.4%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해외 원전 수출 또한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지난해 8월 말 3조 원대 이집트 엘다바 원전 건설 사업권을 따냈고, 같은 해 10월에는 폴란드 퐁트누프 지역에 APR1400 기술을 기반으로 한 원전 건설을 골자로 하는 규모의 업무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