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어가 소득은 52만 원 증가
지난해 농가 소득이 4600만 원대로 내려가면서 2019년 이후 3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쌀 및 소 가격 폭락 여파로 미곡, 축산물 수입(소득)이 대폭 감소하고, 비료비, 사료비 지출 증가로 재료비가 크게 늘어난 탓이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의 가구당 총소득(연 평균)은 4615만 원으로 1년 전(4775만 원)보다 161만 원(3.4%) 감소했다.
2019년(-2.1%) 이후 3년 만에 농가 소득이 감소세로 전환된 것이다. 2021년에는 농가소득이 4776만 원을 기록하면서 2년 연속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농가 소득은 농업소득과 농업외소득, 이전소득, 비경상소득을 합친 금액이다. 지난해 농가 소득이 크게 준 것은 농업총수입이 전년보다 7.0% 줄고, 농업경영비가 3.7% 늘면서 농업소득(농업총수입-농업경영비, 949만 원)이 348만 원(26.8%) 감소한 탓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쌀 값 하락 등에 따른 미곡, 채소 수입 감소로 농작물 수입이 3.9% 줄었고, 축산 수입 또한 소 가격 하락 등으로 15.3%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어 "반면 비료비, 사료비 등 재료비 증가(+10.9%) 등으로 농업경영비(2512만 원)가 3.7% 늘면서 전체 농가 소득이 줄었다"고 덧붙였다.
음식‧숙박업 운영 등의 농업외소득은 1920만 원으로 전년대비 7.4% 늘었다. 공적ㆍ사적보조금을 합친 이전소득(1525만 원)도 정부와 지자체에서 지급한 코로나19 지원금 영향으로 2.9% 증가했다. 비경상소득(222만 원)도 5.5% 늘었다.
농가 평균자산은 6억1647만 원으로 1년 전보다 5.3% 늘었다. 토지, 건물 등 고정자산과 예금 등 유동자산 모두 늘어난 영향이다.
지난해 어가의 가구당 소득은 5291만 원으로 전년대비 52만 원(1.0%) 늘면서 1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소득종류별로는 어업소득(2072만 원)이 1년 전보다 5.3% 늘었고 이전소득(1713만 원)도 9.0% 증가했다. 어업외소득(1268만 원, -11.4%), 비경상소득(237만 원, -11.9%)은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