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클러스터를 활용하면 한국은 적기에 글로벌 6대 제약·바이오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K바이오는 이미 한국의 미래를 책임질 주요 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바이오산업의 쾌속 성장을 이끌 바이오클러스터의 경쟁력 확립은 현시점의 당면 과제로 떠올랐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은 24일 오후 서울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 에메랄드홀에서 열린 ‘K-제약바이오포럼 2023’ 패널 토론에서 “앞으로 바이오클러스터 중심으로 형성된 시장이 얼마나 경쟁력을 차지하느냐에 따라 K바이오의 글로벌 위상을 결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5년 내 연매출 1조 원 이상의 블록버스터급 신약 2개를 창출하고 의약품 수출을 2027년까지 160억 달러로 확대하겠단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을 제시했다. 이를 위한 첨단 전문인력 양성과 창업 지원 강화, 연구·개발(R&D) 지원, 법·제도 인프라 구축 등을 약속했다. 하지만 보다 혁신적인 바이오산업의 성장과 바이오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해서는 갈 길이 멀다는 우려가 나온다.
패널 토론의 좌장을 맡은 정기택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는 “전국에 20여 개 클러스터가 있는데 세계적인 수준은 아직 없다”라면서 “중복과 비효율이 생기면서 정말 필요한 곳에선 예산 부족이 발생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명훈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전략기획본부장 “싱가포르는 2000년부터 바이오폴리스 조성을 위해 연간 1조 원을 투자했고, 화이자는 매년 R&D에 10조 원을 투자한다”라면서 “우리는 2010년부터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을 시작해 2038년까지 4조6000억 원을 투자할 예정인데, 싱가포르가 우리의 8배, 화이자가 싱가포르의 10배를 지원하는 꼴”이라고 설명했다.
이현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글로벌본부장은 “정부가 바이오산업이 제2의 반도체로 성장할 동력이 있다고 믿고 지원을 확대하는 점은 감사하지만, 더욱 확대해도 좋다고 판단한다”라면서 “보스턴과 같은 성공 사례를 만들려면 어떻게 이런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는 범부처 바이오 컨트롤 타워의 필요성을 여러 차례 강조해 왔다. 산업의 중장기 전략과 청사진을 체계적으로 마련하기 위해서는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각 부처에 산재한 정책과 제정, 규제를 총괄 조율할 구심점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본부장은 “부처 간 주도권 다툼으로 이어지면 몇 년 후에도 제목만 바뀌고 똑같은 목표를 제시하게 될 것”이라며 “자생적으로 융합해 바이오클러스터를 완성한 해외 사례를 배우고 부처와 업계, 협회가 하나 되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홍유성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산업생태계조성팀장은 “다양한 법안이 있는데 이를 통합적으로 지원할 근거가 있어야 한다”라면서 “대구첨복단지와 같은 완성형 바이오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흩어진 바이오클러스터를 연계할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