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K-푸드+ 수출 확대 전략' 추진…올해 100억 달러 목표
푸드테크·그린바이오·농기자재 등 신산업 육성도 박차
2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농식품 수출은 역대 최고치인 88억 달러를 기록했다. 20년 전과 비교하면 5배로 증가했고, 최근 3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8%에 달했다. 여기에 스마트팜과 농기자재 등 전후방 산업 수출도 지난해 13.7%가 늘어나며 30억 달러를 달성, 농식품과 농산업 수출은 118억 달러의 성적을 올렸다.
농식품 수출은 소비시장 확대 및 농산물 생산 기반 강화와 함께 수급 안정을 통한 농가소득 제고 등의 긍정적 효과 만들 수 있다. 또한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 등 국가 경제 발전에도 기여하는 바가 크다.
실제로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농림어업의 수출 부가가치율은 80.5%에 달한다. 또 식료품 역시 73.9%를 기록해 반도체(67.2%), 자동차(70.7%)보다 높다. 일자리 창출 역시 농림어업이 100만 달러당 20.7명, 식료품이 17.8명에 달해 전체 산업의 6.7명보다 월등히 많다.
정부는 농식품의 수출 증가는 생산량 증대와 품질 향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물론 스마트팜·농기자재 등 전후방 산업 발전의 선순환으로 연결된다는 점을 고려해 'K-푸드+'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먼저 신선 농산물은 고품질·프리미엄 수출 전략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생산과 선별, 포장, 마케팅까지 일관된 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수출통합조직을 글로벌 표준 수준으로 육성하고, 2027년까지는 20개 품목으로 확대한다. 민간 기업형 전문경영인 제도도 도입해 전문성을 높인다.
항구에서 소비자까지 농산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저온유통체계(콜드체인)는 현재 3개국에서 올해 5개국으로 확대하고, 저온 창고도 지난해 18개국 85개소에서 올해는 21개국 88개소로 늘린다.
간척지를 활용한 100㏊(헥타르) 규모의 K-푸드+ 스마트팜 수출단지를 2024년부터 조성하고, 수출기업·농업인이 참여하는 수출거점으로 육성한다.
가공식품 수출은 경영안정책을 마련해 지원한다. 원료·원자재 운영자금 지원은 올해 4584억 원 규모로 금리 인하 적용 대상 우수 수출기업도 늘린다.
푸드테크와 그린바이오 등 유망 신산업 육성에도 힘을 쏟는다. 푸드테크는 세포배양식품 생산기술과 식물 기반 식품 제조 기술, 친환경 식품 포장 기술 등 10대 핵심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R&D)에 집중하고, 2027년까지 전용 펀드를 1000억 원 이상 조성한다.
그린바이오 산업은 종자, 미생물, 동물용 의약품, 곤충, 천연물, 식품 등 6개 분야를 거점으로 육성하고 올해 1184억 원의 R&D 예산을 투자한다. 역시 2027년까지 1000억 원의 펀드 조성해 혁신기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스마트팜은 중동과 호주, 카자흐스탄, 베트남에 시범 온실을 조성하고 수출 거점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필리핀과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등에는 국제개발협력(ODA)으로 지원하는 온실을 활용해 K-스마트팜의 우수성을 홍보한다.
특히 중동 국가를 대상으로 UAE, 사우디, 카타르 등과 MOU를 제·개정하고, 농업 R&D 협력 등을 통해 사막형 스마트팜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스마트농업 펀드는 200억 원을 비롯해 1000억 원 규모의 수출융자 등 전용 자금 지원도 마련한다.
농기자재는 새만금 간척지에 2026년까지 지능형 농기계 실증단지를 구축하고, 자율주행, 전기, 수소 농기계 개발에 526억 원을 투입한다.
이 외에도 동물용 그린 백신 실증센터는 포항에, 신약 생산 시설은 익산에 구축하는 등 주요 거점시설을 통해 의약품 수출 확대를 꾀한다.
또 해외 농업 기반 시설 건설 수출을 위해 아시아와 아프리카, 중남미 등 12개 전략국가 대상으로 기업, 협력체 컨소시엄을 구성해 용역 수주 확대에 나선다. 올해는 인도네시아 관개시설, 말라위 다목적댐 등 전략국가에서 4100만 달러 수주를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확대하는 반려동물 시장 진출을 위해 기능성 반려동물먹이(펫푸드), 반려동물 맞춤형 의약품·의료기술 등 개발을 위한 반려동물 전주기 산업화 기술개발에 2026년까지 314억 원을 지원한다.
정부는 이 같은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K-푸드+' 수출을 내년 135억 달러, 2027년까지는 230억 달러까지 키운다는 계획이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농식품부 직원 모두가 해외영업사원이라는 각오로 2027년까지 (K-푸드+)수출 규모를 지난해의 2배 수준인 230억 달러까지 늘려 대한민국 수출 효자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부의 이 같은 'K-푸드+ 수출 확대 전략'은 확실한 목표를 잡고 추진해야 한다. 글로벌 스탠더드 수준의 역량을 갖춘 수출 주체를 육성하고 한국산만의 차별화되는 품질 초격차를 확보해야 하는 것이 우선이다.
신선 농산물의 경우 안정적 물량 확보, 품질관리, 마케팅 등의 역량을 갖춘 수출통합 조직을 집중 육성·관리할 필요가 크다.
특히 중국의 샤인머스캣, 대만의 배와 같이 경쟁국에서 국내산과 유사한 맛과 품질을 갖춘 농산물을 생산하고 있어 후발 주자와의 격차 유지가 필수다. 이를 위해 해외 소비자 입맛에 맞는 품종 발굴·개발과 함께, 신선도·품질 유지를 위한 유통·물류 효율화도 이뤄야 한다.
가공식품 역시 환율 변동 등 대외변수에 따른 원료수급 문제, 검역·통관 등의 규제 변화에 신속한 대응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장류와 김치 등 일부 가공식품의 경우 현지 생산 증가와 타국 유사 제품 생산·판매로 수출에 애로가 있어 품질 향상이 무엇보다 우선시 된다.
푸드테크, 그린바이오, 펫푸드 등 신산업 분야는 스타트업·중견기업에 대한 투자 지원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신산업 분야 시장 선점을 위해 R&D 등을 통한 차별화된 기술을 확보하고 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이와 함께 미국과 일본, 중국 중심의 수출시장을 다변화해야 한다. 지난해 농식품 분야 전체 수출액에서 미·일·중 3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6%에 달했다. 2019년 48%에서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절반에 가깝다.
다만, 최근 한류 확산과 함께 유럽·중남미·중동 등에서 떡볶이, 라면, 소주를 앞세운 K-푸드 인지도와 판매가 늘고 있는 것은 희소식이다.
또 1억 달러 이상 수출 품목 역시 지난해 기준 △라면 △음료 △커피조제품 △쌀가공식품 △설탕 △펫푸드 △비스킷 △조제분유 △인삼 △김치 등 11개에 불과해 향후 수출 확대를 위해 품목별 맞춤형 지원과 마케팅이 선결 조건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식품산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라며 "식품시장과 전후방산업의 성장 가능성과 한류 열풍을 적극 활용해 'K-Food+'를 주력 수출 상품으로 육성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제작지원: 2023년 FTA이행지원 교육홍보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