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향…중소기업→대기업 이직 2.6%에 불과
2021년 다른 회사로 이직한 근로자 3명 중 1명 정도가 월급이 더 적은 곳으로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일자리 이동통계'를 보면 2020~2021년 일자리를 옮긴 임금근로자(일용·특수형태 근로자 제외한 상시 근로자) 219만8000명 중 36.4%는 임금이 감소한 일자리로 이동했다.
임금이 줄어든 일자리로 이동한 비율은 60세 이상이 44.6%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이어 50대(40.7%), 40대(36.9%), 30대(32.5%), 20대 이하(30.7%) 순이었다.
이동 전후 임금 감소 폭은 25만 원 미만(12.2%)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50만 원 이상∼100만 원 미만(7.2%), 25만 원 이상 50만 원 미만(6.8%),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5.3%), 200만 원 이상(4.9%)이 뒤를 이었다.
코로나19발(發) 고용 충격이 2021년에도 이어지면서 임금이 높은 일자리 이동이 이려워지고, 실직자들이 생계를 위해 임금이 감소한 일자리라도 구한 것으로 분석된다.
2020~2021년 기존 직장을 유지한 근로자는 1750만1000명으로 전년보다 31만 명(1.8%) 증가했는데 코로나19로 고용 여건이 안 좋아진 영향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021년 전체 등록 취업자(4대 사회보험 등 행정자료로 파악되는 임금·비임금 근로자)는 2549만 명으로 전년보다 65만8000명 늘었다.
일자리 이동 여부를 보면 미등록에서 신규 진입(15.8%), 같은 기업체 근무(68.7%), 기업체 간 이동(15.5%) 등이다.
연령별 일자리 이동률은 30세 미만인 청년 취업자가 20.9%로 가장 높았다. 이어 30대(15.9%), 60세 이상(14.7%) 등 순이었다.
이직한 근로자의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금근로자 93.1%가 다른 회사로 옮겨도 임금 근로를 지속했다. 자영업자자 등 비임금근로자의 85.0%는 임금 근로로 전환했다. 사업을 접고 월급쟁이가 된 것이다. 이 역시 코로나19 영향이다.
2020년 중소기업 근로자 1552만6000명 중 2021년에 대기업을 옮긴 근로자는 2.6%(40만9000명)에 불과했다. 다른 중소기업으로 옮긴 근로자는 15.1%(234만800명)다.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의 이직 문턱이 여전히 높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