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고독사 위험 약 2만4000가구를 추가 발굴해 복지 연계를 지원했다.
서울시는 ‘사회적 고립 위험 1인 가구 실태조사’를 실시, 고독사 위험 2만4440가구를 발굴·지원했다고 10일 밝혔다.
실태조사는 작년 10월부터 올 1월까지 4개월간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동주민센터 공무원이 직접 가구를 방문하는 방식(필요 시 비대면 병행)으로 진행했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총 5만6248가구 조사를 완료했고, 고독사 위험군 2만4440가구(고위험 166, 중위험 3256, 저위험 2만1018)를 발굴했다.
고독사 위험군으로 판정된 가구를 대상으로 고독사 위험도 측정항목을 분석한 결과, 건강·소통 분야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아플 때 돌봐줄 사람이 없는 경우(71.9%)가 가장 많았고, 마음이 울적할 때 대화 나눌 사람이 없는 경우(49.3%), 1주일간 소통 횟수가 1회 이하인 경우(33.5%)가 뒤를 이었다.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취약계층 복지서비스 연계도 적극 나섰다. 기초수급(기초생활보장법, 법정 차상위 등), 긴급복지(국가형 긴급복지, 서울형 긴급복지), 돌봄SOS센터 서비스 연계(가정방문 등), 기기 설치(스마트플러그, 서울살피미앱 등), 안부확인(우리동네돌봄단, AI안부콜 등), 사례관리, 민간후원성(금)품 등 대상자 맞춤형 복지서비스 4만2317건을 신규 또는 추가로 지원했다고 서울시는 밝혔다.
한편, 이번 실태조사에서 신규 조사한 4만8390가구의 항목별 주요 응답 결과, 남성 47.7%, 여성 52.3%로 여성 비율이 근소하게 높았고, 연령은 60대 33.3%, 70대 27.6%, 80대 이상 18.4% 순이었다.
1인 가구 사유는 이혼이 42.5%로 가장 높았고, 가족이 없는 경우는 12%였다. 직업이 없는 가구가 76.6%로 직업이 있는 가구(23.4%)의 3배 이상을 차지했다. 주거유형은 다가구(지상) 30.2%, 임대 아파트 21.4%, 다가구(지하) 17% 순이었다. 사회활동 주요 교류대상은 지인이 42.9%로 가장 많았으나, 기타 및 없음도 20%를 차지했다.
이수연 복지정책실장은 “금번 실태조사의 성과는 복지 사각지대 중에서도 가장 돌봄이 필요한 고립 위험 1인 가구의 건강·주거 등 주요생활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고독사 위험 주민을 발굴하고,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지원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약자와의 동행이라는 시정 기조에 맞춰 지속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서울시 내에 고독사 위험 주민을 적극 발굴해 지원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