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 ‘빅테크 길들이기’에 일자리 미스매치 심화
공산당 통치에 잠재적 위협…“사회 불안 키울 것”
2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장단단 베이징대 교수는 중국에서 구직 의사를 접은 ‘탕핑(가만히 누워 아무것도 하지 않음)족’과 부모의 경제력에 의지해 사는 ‘캥거루족’을 포함하면 중국의 청년실업률이 3월 기준 46.5%까지 올라간다고 주장했다. 이는 중국 정부가 발표한 공식 청년 실업률인 19.7%를 두 배 이상 웃돈다.
중국의 공식 청년 실업률이 지난달 21.3%로 두 달 연속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운 것을 고려하면, 현재 중국의 청년 실업 문제는 더욱 심각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심각한 청년 실업률 문제의 원인은 일자리가 없어서가 아니다. 오히려 중국에서는 인구 감소로 인해 노동력이 전보다 더 필요한 상황이다. 그보다는 중국의 경기 둔화로 청년들이 선호하는 고숙련·고소득 일자리가 부족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청년층은 정보기술(IT) 계열의 직종을 선호하는데, 최근 수년간 이어졌던 중국 당국의 빅테크 규제가 ‘일자리 미스매치(불일치)’ 상황을 크게 악화시켰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 주석은 2020년 알리바바그룹 창업자인 마윈의 금융 당국 비판 발언 이후 엄격한 규제를 동원해 ‘빅테크 길들이기’에 나섰다. 중국 기술 기업들은 이러한 규제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여파로 실적이 악화했고, 대대적인 감원과 함께 신규 고용 축소에 돌입했다.
중국 구직컨설팅업체인 질리안 자오핀에 따르면 올해 중국 졸업생의 4분의 1이 기술 분야에서 일자리를 구하고 있었다.
WSJ은 “젊은이들의 취업 좌절이 시 주석이 내세우고 있는 비전에 새로운 도전이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당장은 이들의 부모의 경제력 그늘에 있어 분노를 표출하지 않고 있지만, 장기적으로 수백만 명의 실업자가 사회 변두리에 머물며 공산당 통치 체제의 잠재적 위협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청년실업률은 결혼과 출산율 하락으로 이어져 인구 통계학적 문제를 악화시킨다.
전문가들은 부모에게 생활비를 받아 살아가는 ‘신빈곤층’이 새로운 사회 문제로 부상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칭화대에서 사회학을 가르치는 쑨펑 교수는 “신빈곤층은 장기간 배제, 망각, 지루함 속에서 살아오면서 반사회적이고 폭력적인 성향을 지니게 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는 사회 불안을 키우는 주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