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업계 "새상품 개발 등 어려워"
진료비 공개 수의업계 반발도 걸림돌
동물병원 진료비가 같은 지역인데도 16배 차가 벌어지는 등 가격을 비교할 방법이 없어 반려인들의 불신이 확대되고 있다. 보험업계는 이처럼 반려동물 진료와 관련한 관리체계 미비 등이 펫보험의 낮은 가입률 등으로 이어지는 만큼 펫보험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정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보험사들은 윤석열 정부의 ‘펫보험 활성화’ 공약에 맞춰 반려동물 진료비 부담을 완화하는 수단으로 상품을 지속해서 출시하고 있지만, 가입률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작년 말 기준 총 11개사가 약 7만1896건(보험료 약 287억 원)을 판매 중인데, 가입률은 추정 전체 개체 수 대비 0.9% 수준에 그친다.
보험업계는 동물진료 표준수가, 진료코드 부재와 진료부 미발급 등 제도적 기반이 여전히 미흡하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진료비 관련 통계와 데이터도 부족해 보험료 산정과 손해율 관리도 어려워 상품개발 등 시장확대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가 공개한 동물병원 진료비 현황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최저가와 최고가 병원의 차이가 크게는 10배, 항목에 따라 지역별 평균도 약 2배 가까이 벌어졌다. 같은 지역에서도 진료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인천의 경우 가장 낮은 초기 진료비는 3300원이지만, 가장 높은 초기 진료비는 5만5000원으로 같은 지역 내에서도 16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결국 이런 반려동물 진료와 관련한 관리체계 미비 등이 반려인의 진료비 부담, 낮은 보험가입률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수의업계의 반발도 걸림돌 중 하나다. 진료비 관련 정보가 공개됐을 경우 수의료 체계가 무너질 수 있다는 게 수의업계의 주장이다. 현재 국회에는 동물병원 진료부 공개를 의무화하는 조항을 삽입한 수의사법 개정안이 다수 올라와 있다. 진료기록부 작성 시 표준화된 질병·진료행위 명칭·코드를 이용할 경우 정부의 동물진료표준화 정책 추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됐지만 아직 뚜렷한 진전이 없는 상태다.
보험업계는 개별 동물병원과 직접 제휴해 의료데이터를 늘려가는 방식도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보험사에서 상품 설계 시 동물병원이 협약을 맺어 진료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도 있다. 제휴를 통해 간편히 반려동물을 등록하고 보험도 가입하면서 청구서류도 전송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시·군·구 자료를 보면 편차가 너무 커 여전히 반려견 진료비는 관리가 더 필요한 상황이고, 진료비 관련 통계와 데이터 부족으로 상품개발과 시장 확대에 어려움이 있다”며 “진료비를 토대로 데이터를 활용한다면 새로운 상품 개발에 있어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