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인상이 실물경제 위기로 전환될 때 불안↑
상의 “경제 충격 견딜 펀더멘탈 관리가 더 중요”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과거 4차례 한미 금리역전기를 분석한 결과 금리역전기보다 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에 발생한 실물경제 충격에 따른 환율 불안이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20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한미 금리역전기 환율 변동의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행이 정책금리를 제시하기 시작한 1999년 5월 이후 지금까지 총 4차례의 한미 금리역전이 있었고, 이 기간 환율 변동 폭은 크지 않았다.
대한상의는 금리역전기보다는 오히려 미국의 금리인상 이후 미국과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에 더 주목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과잉 공급된 유동성을 잡기 위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의 고금리 정책이 실물경제 위기로 전이될 때 환율 불안이 커진다는 것이다.
실제로 1차 금리역전기(1999년 6월~2001년 3월) 후반부에 터진 ‘닷컴버블 붕괴’, 2차 금리역전기(2005년 8월~2007년 9월) 종료 후 발생한 ‘리먼 브라더스 사태’로 인해 원·달러 환율은 단기간에 급등했다.
반면 3차·4차 금리역전기(2018년 3월~2020년 2월, 2022년 9월~현재)에는 미국 금리 인상의 여파로 주가 급락, 디플레이션, 금융 불안 등이 발생했으나 더는 확산되지 않으며 비교적 환율 불안이 크지 않았다.
대한상의는 “지난 4차례의 금리역전기를 통해 금리변동이 외환시장과 실물경제에 미치는 패턴을 읽을 수 있었다”며 “미국의 유동성 과잉이 금리 인상으로 이어지고, 금리 인상에 따라 실물경제가 영향을 받아 글로벌 환율 불안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다만 미국 금리 인상 폭이 미국 실물경제에 충격을 주는 정도에 따라 상황이 달랐다. 1·2차 금리인상기는 미국 정책금리 수준이 5%를 초과하며 실물경제에 미치는 부담이 컸으나 3차 금리인상기에는 최고금리가 2.5%로 높지 않았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지난 4차례의 금리인상기와 그 이후의 원·달러 환율 추이를 분석해본 결과 한미 간 금리격차 그 자체보다는 미국 실물경제 충격이 글로벌 경기침체와 환율 불안의 불쏘시개가 된 만큼 대외 발(發) 경제 충격을 견딜 펀더멘탈 관리가 더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이어 김 팀장은 “우리 경제가 대외적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미국의 통화정책과 실물경제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지만 진폭과 길이는 우리 경제의 체력에 달려 있다”라며 “가계부채, 부동산 PF 등 금융부문의 잠재적 취약성을 경감시키고, 중장기적으로 외환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무역적자 구조를 벗어나는데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