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의 ‘차(China)마겟돈’]④
강미정<사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금융시장팀 연구위원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디레버리징(부채 감축) 정책을 고수할 가능성이 크며, 이에 따른 개별 부동산 개발업체 관련 리스크 발생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중국 부동산 시장의 경우 사실상 정부가 그동안 구조조정 의지 하에 디레버리징 정책을 추진한데 따른 것이다. 그림자금융 또한 관리감독을 지속하고 있고 규제 강화로 규모도 둔화세를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이 중국을 무너뜨릴 것으로 생각되지는 않는다. 다만, 중국이 계속해서 디레버리징 정책을 고수할 가능성이 크며 그로 인해 부동산에 대한 대규모 부양 가능성이 크지 않아 산발적으로 개별 부동산 개발업체 관련 리스크 발생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부동산 시장 회복을 지연시켜 중국 경제 성장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최근 중국의 경기 부진과 위안화 급락 방어를 위해 미국 국채 매도를 가속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단기적으로 정부가 자본을 통제하고 세계 시장에서 자본을 철수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중국이 외자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고 외국인 투자 촉진을 위해 투자 환경을 개선하는 등의 노력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반대로 자본 통제에 적극적으로 나서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 투자 여력이 제한되고 투자를 줄이게 되면 글로벌 경제를 둔화시키는 추가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는 있을 것 같다.”
“중국은 일대일로 정책 추진 하에 아세안과의 경제협력에 집중하고 있고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그동안 중국의 대아세안 해외직접투자 확대로 양국의 경제 관계가 긴밀해지면서 무역과 투자 등 양국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중국 정부가 투자를 축소할 경우 선진국보다 신흥국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자본이 철수할 경우 아시아 시장이 타격을 받을 수 있고 이러한 중국의 전방위적인 유동성 회수가 가시화될 경우 위험 시그널과 함께 다른 자산 가격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금처럼 금융긴축 및 글로벌 성장세가 약화하는 국면에서 이러한 움직임은 글로벌 자본시장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현재 모든 국가가 각자도생의 시기인 것 같다. 글로벌 경제에서 구원투수 역할을 할 수 있는 국가가 없어 보인다. 중국의 자본 철수가 가시화될 경우 중국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으며 미국도 예외가 아닐 수 있기 때문에 패권을 더 강화되는 식으로 가기는 어렵지 않을까 생각된다.”
“현재 글로벌 환경하에서 자산가격 하락은 위험 시그널 확산으로 인해 전방위적인 유동성 축소로 이어질 수 있고 이러한 상황이 다른 국가에 새로운 기회가 될지는 미지수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