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현로] 100년 기업 GM은 왜 시장서 밀려났나

입력 2023-09-06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기술발전·소비패턴 변화흐름 놓쳐
테슬라보다 성장성 낮게 평가돼
비즈니스 트렌드 읽는 눈 키워야

가끔 기업 관련 뉴스를 접하면 이런 질문이 들곤 한다. 온라인서점으로 시작했던 아마존이 어떻게 오늘날 시가총액 1850조 원의 거대 기업으로 성장했을까? 창업 초기 생존 가능성마저 의심받던 테슬라는 어떻게 세계 전기차 최강자로 컸을까? 인터넷 후발국가에서 창업한 텐센트가 어떻게 삼성전자보다 훨씬 기업가치가 큰 초대형 인터넷기업으로 발전했을까? 불과 10여 년 전에 사업을 시작한 우버는 어떻게 세계적 차량공유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을까?

인터넷을 검색해 보면 이들 기업의 성공요인으로 여러 가지가 제시돼 있지만, 나는 ‘트렌드’(trend)를 잘 활용했던 점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고 싶다. 즉 이들 기업이 기술발전과 소비패턴 변화 등을 예측해 새로운 트렌드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한 것이 현재를 있게 만든 요인이 되었다는 의미다.

아마존과 텐센트는 인터넷과 모바일 서비스의 급속한 확산, 테슬라는 자동차의 전기화(electrification), 우버는 공유(共有)경제 등 종전과 다른 비즈니스 모델로 소비자들에게 어필했기 때문에 이들 기업이 창업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기간에 비약적인 성장을 할 수 있었다.

그 누가 창업한지 20~30년에 불과한 아마존과 테슬라가 10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월마트 GM 등 기존 대기업들보다 더 큰 기업가치를 가질 거라고 예상이나 했을까. 꼭 남보다 먼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지 않더라도, 중국 디디추싱과 동남아 그랩(차량공유 서비스), 인도 플립카트와 싱가포르 쇼피(전자상거래)처럼 선발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재빨리 벤치마킹해 성공한 사례도 많다.

우리나라의 기업판도를 봐도 마찬가지다. 예전에는 주로 제조대기업과 금융·통신회사가 시가총액 상위를 차지했지만, 언젠가 카카오 네이버 등 인터넷 모바일서비스 기업이 부상하더니, 최근엔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홀딩스 에코프로 등 전기차배터리 관련 기업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런 변화의 원인은 이들 기업이 미래 성장성이 큰 업종을 영위한다는 점으로, 그만큼 트렌드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트렌드의 사전적 의미는 ‘사람들이 행동하는 방식이나 상황의 일반적 발전 또는 변화’(케임브리지사전)로, 비즈니스 관점에서 보면 ‘잠시 지나가는 일시적 현상(유행)이 아니라, 최소 수년 동안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지속되는 현상’이다. 예를 들면, 경제의 디지털 전환, 소비활동의 온라인화, 자동차 선박 에너지 등의 친환경화 등이 그것이다.

과거에는 가격 품질 납기 등이 시장경쟁에서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트렌드가 비즈니스 성공에 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 이유는 기술발전이나 소비자 취향 변화에 맞춰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 공법 등을 개발한 기업은 시장을 선점하게 되는 반면, 그렇지 못한 기업은 소비자로부터 외면되거나 경쟁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가격 품질 등 전통적 요인만으로는 부분적인 전투에선 이길지 몰라도 전쟁에선 패배할 가능성이 크다. 트렌드를 읽을 줄 알아야 더 큰 돈을 벌거나 유망한 비즈니스 기회를 확보하는 시대가 되었다.

그러면 기업들이 어떻게 트렌드 변화를 파악할 것인가. 전문가들은 언론보도, 소셜미디어, 구글, 크라우드펀딩 사이트, 학계 보고서 등 활용가능한 모든 채널을 통해 트렌드를 파악하도록 권하지만,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다행히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새로운 트렌드를 알려주는 전문서적이나 보고서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는 매년 한국의 대표 소비트렌드를 정리한 ‘트렌드코리아’를 발간하고, 코트라(KOTRA)에서는 세계 각지에서 새롭게 뜨는 제품과 서비스를 소개하는 ‘한국이 열광할 세계트렌드’를 발간하고 있다. 또 민간기업의 저작물도 많다. 이들 발간물을 활용하면 새로운 트렌드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만 트렌드를 분석함에 있어서는 영향이 크고 지속기간이 긴 거시트렌드와 함께, 해당 산업의 새로운 제품 기술 소비자선호 등의 미시트렌드를 함께 살펴보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글로벌기업 사례를 봐도, 또 우리나라 기업판도 변화를 봐도 비즈니스 트렌드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것이 기업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새로 사업을 시작하는 스타트업들이 업종을 정하는 데에도 외국 트렌드를 벤치마킹하면 큰 도움이 된다. ‘트렌드를 알면 비즈니스가 보인다’는 말처럼 이제 우리 기업들이 비즈니스 트렌드를 읽는 눈을 갖고 기업경영의 핵심요소로 다루도록 권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