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아시멘트가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하면서 국내 7개 대형 시멘트사들이 모두 가격 인상에 나서게 됐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전날 아세아시멘트는 내달부터 벌크 시멘트의 톤당 가격을 현행 10만5300원에서 11만8000원으로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12.1% 인상폭이다.
아세아시멘트가 시멘트 값 인상 대열에 마지막으로 합류하면서 국내 대형 시멘트사 7곳이 모두 가격 인상을 확정했다. 앞서 쌍용C&E와 성신양회는 7월 1일부로 가격을 올렸고, 한일시멘트와 한일현대시멘트는 9월 1일부로 가격을 인상을 단행했다. 삼표시멘트 역시 이달 1일부터 1종 포틀랜드 시멘트 단가를 약 13% 인상했다. 한라시멘트 역시 10만5000원에서 11만8400원으로 12.8% 인상하는 내용을 통보했다. 업체들 대부분이 12~13% 수준의 인상을 단행했다.
업계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한 대규모 투자로 막대한 비용이 발생해 시멘트 가격 줄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시멘트 업계는 2027년까지 환경부 기준에 따라 선택적 촉매환원설비(SCR)를 설치해야 한다. 지난 5년간 환경부문 설비투자에 약 2조315억 원을 투입한 시멘트업계는 SCR 설치 시 운영비만 매년 7000억 원 이상이 추가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시멘트 협회 관계자는 “시멘트 제품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온실가스 발생량을 줄이고, 환경규제 강화에 맞춰 대규모 투자가 수반돼야 하는데 업계 자체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또 전기료, 물류비 등 원가 부담도 가격 인상 요인으로 작용했다.
시멘트 업계의 가격 인상을 두고 건설 업계와 레미콘 업계가 반발하면서 정부가 협상을 요청하는 등 중재에 나섰지만 이견차는 여전하다.
업계 관계자는 “레미콘 업계가 시멘트 업계 인상안의 10% 수준의 인상을 제시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 사실상 수용하기 어려운 가격이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특히 가격 인상폭을 둘러싼 양 측의 대립각은 더 팽팽해지는 분위기다. 시멘트 업계의 올해 2분기 실적이 호조를 띄면서 수익 악화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에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와서다.
하지만 정부가 전기요금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시멘트 업계의 주장에 무게추가 다시 이동하는 분위기다. 시멘트 제조 원가에서 전기요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25% 수준으로 원가 부담이 그만큼 커져서다. 시멘트 업계가 가격 인상 협상 테이블에서 한 발 물러설 가능성이 더 낮아진 셈이다.
시멘트 업계는 시멘트 가격이 오르면 공사비 역시 크게 오른다는 주장에도 반박하고 있다. 앞서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지난 7월 ‘시멘트 가격 불안정이 공사 재료비에 미치는 파급효과’ 보고서에서 시멘트 가격이 10% 인상될 때 100억 원 규모 공사 기준으로 주거용 건물은 최대 6800만 원, 비주거용 건물은 5300만 원이 추가로 오른다고 분석했다.
업계는 심각한 오류라고 주장했다. 해당 보고서가 반영한 ‘산업물가 가격변동’ 자료는 전체 시멘트 물량의 약 3% 수준을 차지하는 포장시멘트 기준으로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시멘트협회 관계자는 “건산연 분석의 기본 통계 수치에 큰 오류가 발견돼 이를 토대로 한 공사비 역시 신뢰할 수 없다”며 “자체 분석 결과 시멘트 가격 14% 인상 시 30평 아파트 전국 평균 분양가 기준 인상 비용은 약 30만 원으로 0.06% 증가에 그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