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음향기기 사용, 스트레스로 30~50대 환자 증가
‘돌발성 난청’은 3일 이내 3개 이상의 연속된 주파수에서 30dB(데시벨) 이상 청력 저하 현상이 갑자기 발생하는 질환이다. 갑자기 귀가 먹먹해지고 한 쪽 귀가 잘 들리지 않는 경우 이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일반적으로 난청은 노년층에서 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엔 과도한 스트레스와 이어폰 등 음향기기 사용으 늘면서 청소년과 30~50대 연령층 환자도 증가세다. 특히 전문가들은 돌발성 난청의 경우 일시적인 증상으로 가볍게 생각하다 치료시기를 놓치면 청력을 상실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 자료에 따르면 국내 돌발성 난청 환자는 매년 늘고 있다. 돌발성 난청 국내 환자 수는 2016년 7만5937명에서 2022년 10만3473명으로 6년간 약 36%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돌발성 난청 환자의 50% 이상이 30~50대로 나타나, 비교적 젊은 연령대 환자 비중이 높아지며 선제적 예방과 빠른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다.
류찬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이비인후과 전문의는 “돌발성 난청은 스트레스와 과로, 소음 노출, 바이러스 감염, 혈액 순환장애, 귓속 혈관 문제 등이 주요 발병 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 “빈도는 낮지만 중추성 질환인 ‘청신경 종양’으로 생길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돌발성 난청은 전 세계적으로 1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10명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ᄃᆞ. 그러나 실제 유병률은 앞선 발생 수치보다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치료 시기가 빠를수록 회복률이 높아 귀 먹먹함, 청력 저하, 이명 증상 등 귀에 이상이 생기면 신속하게 병원을 찾는 게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돌발성 난청의 경우 갑자기 발생한 청력저하가 주된 증상이고 양쪽 귀보다는 한쪽 귀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명과 귀 먹먹함, 어지럼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진단과 관련해 류찬 전문의는 “고막내시경으로 고막천공, 중이염 여부를 확인하고 귀지 막힘이 있는지를 감별한다. 순음, 어음청력검사로 청력 저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면서 “필요하면 어지럼증 검사와 정밀 청력검사인 ‘뇌간 반응검사’, 청신경종양 감별을 위한 ‘측두골 MRI검사’를 추가 시행한다”고 말했다.
치료는 ‘전신 스테로이드 요법’이 기본으로 주사 및 약물치료를 병행한다. 스테로이드 치료는 총 2주간 진행한다. 1주일은 고용량 사용, 나머지 1주일은 부작용이 생기지 않게 점차 줄여 투여한다. 류찬 전문의는 “증상에 따라 어지럼증 증상 조절약, 혈관확장제, 이뇨제, 혈액순환개선제, 항바이러스제 등을 처방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다른 치료법으로 ‘고실내 스테로이드 주입술’도 있다. 이는 전신 스테로이드 부작용 최소화를 위해 스테로이드를 고막 안쪽에 주입하는 방법이다. 돌발성 난청 환자 중 전신질환으로 ‘전신 스테로이드 요법’을 적용하지 못하는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고 ‘전신 스테로이드 요법’ 과 병행 치료할 수 있다.
류찬 전문의는 “난청 예방을 위해서는 주로 많이 사용하는 이어폰, 헤드셋은 낮은 음량으로 단기간 사용을 권하며 음향기기 사용 후 1시간당 10분 정도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고 혈액순환에 악영향을 주는 술, 담배, 짠 음식은 가급적 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