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업계의 시멘트 가격 인상 폭이 7%를 밑도는 수준에 맞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일·한일현대시멘트는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기존보다 7100원(약 6.8%) 올린 톤(t)당 11만2100원에 공급하기로 했다. 슬래그시멘트는 톤당 9만5000원에서 10만1500원으로 6.8% 오른다.
이는 당초 레미콘 업계에 통보했던 12.8% 인상안의 절반 수준이다. 인상 시기도 애초 제시했던 지난달 1일보다 2개월 늦은 내달 1일부터다.
시멘트 가격 인상률을 낮춘 것은 쌍용C&E에 이어 한일·한일현대시멘트가 두 번째다. 앞서 국내 최대 시멘트 기업인 쌍용C&E는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와 이달 16일부터 시멘트 가격을 6.9% 인상하는 데에 합의했다.
앞서 시멘트 업계 주요 7개 사는 13% 안팎의 가격 인상안을 잇따라 제시했다. 쌍용C&E와 성신양회는 7월 1일부로 가격을 올렸고, 한일시멘트와 한일현대시멘트가 9월 1일부로 가격 인상에 나섰다. 삼표시멘트 역시 지난달 1일부터 1종 포틀랜드 시멘트 단가를 약 13% 인상했다. 한라시멘트는 10만5000원에서 11만8400원으로 12.8% 올렸고, 아세아시멘트는 12.1% 인상 폭을 제시하며 가장 늦게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
업계가 시멘트 가격 줄인상에 나섰던 것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한 대규모 투자로 막대한 비용이 발생해서다. 시멘트 업계는 2027년까지 환경부 기준에 따라 선택적촉매환원설비(SCR)를 설치해야 한다. 업계는 지난 5년간 환경부문 설비투자에 약 2조315억 원을 투입했지만 SCR을 설치하면 운영비가 매년 7000억 원 이상 투입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시멘트 협회 관계자는 “시멘트 제품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온실가스 발생량을 줄이고, 환경규제 강화에 맞춰 대규모 투자가 수반돼야 하는데 업계 자체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전기료, 물류비 등 원가 부담 역시 가격 인상 요인으로 작용했다.
시멘트 업계의 가격 인상에 건설 업계와 레미콘 업계는 강하게 반발했다. 이에 정부는 업계와 잇따라 간담회를 개최하며 중재에 나섰다. 정부의 물가 안정 정책과 어려운 건설시장 여건을 고려해 인상 폭을 대폭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에선 쌍용C&E의 합의안에 수요 업계가 합의한 만큼 비슷한 수준을 제시한 한일·한일현대시멘트의 인상률 역시 받아들여질 것으로 보고 있다.
무엇보다 쌍용C&E와 한일·한일현대시멘트는 업계 1, 2위로 시장 점유율이 과반 수준이어서 삼표시멘트, 성신양회, 한라시멘트, 아세아시멘트 등 다른 기업들도 기존 인상 폭을 수정, 비슷한 수준의 가격을 제시할 가능성이 크다.
일각에선 대규모 설비 투자로 인해 10% 안팎의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타사 시멘트와 가격 차이가 클 경우 가격 경쟁력에서 밀릴 수 있어 인상 폭에 큰 차이를 두긴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