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초과저축 소진 줄고 긴축 시차 영향에 이자부담 증가 전망”
“中, 부양조치했으나 부동산 경기 향방 및 파급 영향 주시해야”
한국은행이 미국의 경제 성장세가 연말부터 완만해질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은 부동산 경기가 단기간에 회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진단했다.
한국은행은 22일 ‘해외경제 포커스’를 통해 “3분기까지 양호한 고용상황을 배경으로 민간소비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견조한 흐름을 지속했다”며 그러나 연말부터는 고금리와 신용긴축의 영향이 나타나면서 성장세가 완만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미국의 하방리스크 요인으로 △전미자동차노조(UAW) 파업 △2024년 정부예산안 통과 난항 △학자금 대출 상환 재개 등을 꼽았다.
반면 소득 상위 20% 이상의 초과저축의 경우 해당 소비자들의 소비성향이 상대적으로 낮아 장기보유할 것으로 봤다. 한은은 “잔여 초과저축의 상당 부분을 소득 상위 20%가 보유하고 있는데, 소득상위층은 한계소비성향이 낮고 미래를 위해 자산을 축적하고자 하는 유인이 커서 잔여 초과저축의 소진이 더딜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고금리 영향이 시차를 두고 점차 확대되는 것도 미국의 성장 부담 요인으로 꼽았다. 최근 소비자신용(Consumer credit)을 중심으로 금리 인상의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으며 학자금대출 상환 재개로 이자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한은은 “모기지대출 실효이자율의 경우 연준의 금리인상 착수 이후 약 30bp 상승한 데 그친 반면, 소비자신용(원리금 상환액의 60%에 해당)의 실효이자율은 이미 400bp 이상 상승한데다 앞으로도 소폭 추가 상승할 여지가 있다”며 “20~30대를 중심으로 신용카드 및 오토론 연체가 늘어나고 있어, 취약층의 재무상황이 악화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는 올해 7월 중앙정치국회의 이후 부양조치를 확대하고 있다. 한은은 “부동산경기의 경착륙 방지를 위해 주택구입제한 완화, 선수금 비율 및 모기지금리 인하 등 수요촉진책을 추가로 시행하는 한편 대도시 빈민촌 재개발 계획도 발표했다”며 “또한 중기유동성지원창구 금리, 대출우대금리 및 지준율을 인하해 유동성을 지원하는 한편 전기차·가구·가전제품 구매지원, 문화·여행 소비쿠폰 발행, 세금감면 등을 통해 민간수요 확대를 도모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부양책으로 소비 및 제조업을 중심으로 부진이 완화되고 있으나 부동산 부문의 회복은 뚜렷하지 않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중국의 국경절 연휴(9월 29일~10월 6일)는 예년보다 긴 휴일과 문화·여행 소비쿠폰 발행 등 정부의 소비촉진책에 힘입어 국내 여행객과 지출액이 전년대비 각각 71.3%, 129.5% 증가했다. 2019년 대비로도 각각 4.1%, 1.5%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한은은 “그러나 부동산시장에서는 주택가격, 신규착공 및 투자 모두 감소세가 지속되는 모습”이라며 “특히 주요 부양 조치가 실제로 시행된 국경절 연휴기간 이후 회복세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됐으나 10월 들어서도 신규주택판매가 여전히 과거 수준을 하회하는 등 회복조짐이 가시화되지 않고 있다”고 짚었다.
한은은 정부의 부양조치로 중국경제의 하방리스크는 다소 완화됐으나 부동산경기 리스크는 여전히 남아있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3분기 중국경제는 소비를 중심으로 시장예상을 상회하는 성장세를 보였으나, 부동산 부문은 부진이 지속되고 있으며 부동산 개발기업의 디폴트 리스크도 상존하는 상황”이라며 “주요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부동산경기의 경착륙 리스크는 완화하면서도 기조적으로 점진적인 디레버리징을 지속함에 따라 부동산경기가 단기간에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 부동산경기의 향방과 정책적 대응에 따른 파급영향 등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