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은 2.0% 상승 예고…건설수주 1.5% 감소ㆍ투자 0.3% 감소 등
내년도 전국 집값이 2%가량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내년 상반기보다 하반기 더 내릴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공사비 상승, 공급량 감소로 집값 급락은 없을 것으로 점쳐졌다. 전셋값은 매맷값과 달리 2% 상승할 전망이다.
1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2024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내년 주택시장 흐름은 올해 말 상승세와는 달리 수도권과 지방 모두 내림세로 반전할 것으로 전망됐다. 규제 완화책에 따라 매수심리가 연초 대비 많이 회복됐지만, 여전히 과거 대비 부담스러운 수준의 가격 수준과 고금리 장기화 우려, 연초 대비 경직성이 강화된 대출 태도(정책 대출 포함),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현재 수준의 거래량이 지속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주택 매맷값은 4분기 보합세를 기록한 이후 2024년에는 2.0% 하락이 예상됐다. 김성환 부연구위원은 “2024년에는 정책 대출을 포함한 전반적 대출 태도의 경직성이 강화되고, 고금리 장기화가 우려되면서 주택시장이 하락 반전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집값 폭락 가능성은 작다고 했다. 공사비 인상에 따른 분양가 인상 압력, 공급 물량 감소 예상에 따른 수요 유입 가능성 등 급락을 예상할 근거도 부족하다는 것이다.
주택 전셋값은 올해 4.8% 하락했지만, 내년에는 2.0%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예상보다 빠르게 하락해 하반기 이후 가격이 상향 안정세를 보였다”며 “전세자금대출 금리 하락과 매매 수요 축소로 인한 전세 수요 유입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입주 물량이 소폭 줄어 전셋값이 오를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우리 시장은 정책 움직임에 대단히 민감한 특성을 보이므로 정책 실현 수준과 추가적인 규제 완화가 있으면 시장 상황의 변화 가능성이 열려 있어 시장의 흐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거시경제 환경이나 금융 규제 환경이 2023년과 2024년에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기 어려워 시장을 둘러싼 모든 여건을 확인하고 시장에 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내년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1.5% 감소한 187조3000억 원을 기록하고, 건설 투자는 전년 대비 0.3% 줄어든 260조 원 규모로 전망했다.
건설수주는 2024년 고금리 상황의 장기화로 부동산 PF 문제 등 자금조달에 어려움이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고,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졌다. 이에 민간 수주가 반등하기 어려워 건설수주는 2년 연속 감소할 전망이다.
박철한 연구위원은 “내년에도 건설기업의 자금조달 어려움은 지속할 것”이라며 “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인프라 투자 및 건설금융 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 역할이 요구되며, 건설 기업은 현금 유동성 확보, 사업 포트폴리오 수정 및 맞춤형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