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리스트 올라간 기관들도 거래
중국 접근 완전히 차단 불가능 현실 일깨워
미국 의회, 인텔 등 기업 CEO 증언 출석 요구
1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최근 1년간 중국 군부대와 국영 AI 연구소, 대학들이 미국이 수출 금지한 엔비디아 반도체를 소량으로 구매하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반도체 거래에는 중국 기업 수십 곳도 포함됐으며, 이들은 엔비디아의 ‘A100’ 칩과 고성능의 상위 모델인 ‘H100’ 칩 등을 구매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하얼빈 공대와 중국 전자과학기술대 등 과거 미국이 군사 지원 혐의로 블랙리스트에 올린 기관들도 거래에 참여했다고 로이터는 폭로했다.
다만 엔비디아 반도체가 어떻게 중국으로 흘러갔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엔비디아가 인정하는 공식 업체들은 공급자 명단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소식은 미국의 제재에도 첨단 반도체에 대한 중국의 접근을 완전히 차단하는 게 어렵다는 현실을 드러냈다. 터프츠대의 크리스 밀러 교수는 “반도체가 작고 쉽게 밀수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미국의 수출 통제에 빈틈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며 “미국의 핵심 목표는 AI 시스템을 훈련하는 첨단 반도체의 대규모 클러스터 구축을 어렵게 해 중국의 AI 발전에 제동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 하원 중국특별위원회는 중국과 이해관계에 있는 반도체 업계 최고경영자(CEO)들에게 의회에 나와 증언할 것을 요구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전했다. 엔비디아를 비롯해 인텔과 마이크론, 퀄컴 등이 연락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의원들은 기업들이 중국에서 사업하면서 겪는 문제 등에 관해 직접 듣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면엔 대중국 통제를 강화하는 데 있어 기업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압박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실제로 출석 요구를 받은 기업은 매출 상당 부분을 중국에서 얻는 곳들이다. 지난해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FT와 인터뷰에서 “미·중 반도체 전쟁은 미국 기술 산업에 엄청난 피해를 줄 것”이라며 “반도체 통제로 인해 우린 손이 뒤로 묶인 상태”라며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싱크탱크 신국가안보센터(CNAS)는 “미국 의회는 중국에서 상당한 사업을 운영하거나 매출을 올리고 있는 기업에 정치적 압력을 가하고자 증언 출석을 이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