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수입차 업계는 “영향 제한적일 것”
가성비 강조하는 KGM “전기차 시장 침체 우려”
정부가 배터리 재활용성을 평가해 보조금을 차등 지원하는 방향의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을 발표했다. 사실상 LFP 배터리를 겨냥한 개편안이 나오자 국내 자동차 업계의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환경부는 6일 올해 전기차 보조금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배터리의 재활용성을 평가해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는 내용이다.
이번 개편안에 따라 전기차 구매 보조금에는 ‘배터리환경성계수’가 도입된다. 이는 배터리가 폐배터리가 됐을 때 재활용 가치를 평가해 보조금에 반영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환경성계수는 배터리 1킬로그램(kg)에 든 유가금속 가격을 ‘폐배터리 처리비’ 2800원으로 나눈 값이 0.9를 넘어서면 계수가 1로 산정된다. 이 경우 성능보조금(배터리안전보조금포함)이 감액되지 않는다. 반면 유가금속 가격을 폐배터리 처리비로 나눈 값이 0.8~0.9인 경우 성능보조금이 10% 줄어든다. 감액되는 폭은 배터리환경성계수에 따라 최대 40%다.
이는 CATL, BYD 등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주력 제품인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견제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최근까지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주력해온 삼원계 배터리의 경우 LFP 배터리보다 재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SNE 리서치에 따르면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의 킬로와트시(KWh)당 금속 가치는 68달러이고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배터리는 71달러다. LFP 배터리의 경우 이 수치가 45달러에 그친다. 이번 개편안이 사실상 LFP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 보조금을 덜 지급하겠다는 의도를 담았다는 점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이처럼 LFP 배터리를 견제하는 보조금 개편안이 나오자 자동차 업계의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LFP 배터리를 주력으로 사용하지 않는 기업의 경우 큰 타격이 없는 반면 반대의 경우 판매량에 악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완성차 업계를 주도하는 현대차·기아는 이번 개편안에 대한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다만 주력 전기차 라인업인 아이오닉 5·6, EV6·9 등이 모두 NCM 배터리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큰 영향을 것으로 예상된다. 레이EV 등 일부 경형·소형차에는 LFP 배터리가 탑재돼 있지만 양사가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갖춘 덕에 실질적 악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수입차 업계도 비슷한 입장이다. 기본적으로 수입차 브랜드의 주요 전기차 가격이 보조금 상한선인 8500만 원을 넘겨 형성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조금 개편이 판매와 큰 연관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지난해 보조금 지급 기준인 5700만 원 이하의 전기차를 판매하고 있는 테슬라 등 일부 브랜드 차종의 경우 일부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입차 업계 관계자는 “수입차 브랜드의 전기차는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가격대에 들어오는 차량이 많지 않아 큰 영향이 없을 전망”이라며 “보조금을 지급 받는 일부 차종에 한해서만 제한적으로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LFP 배터리를 탑재한 자동차 업체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BYD의 LFP 배터리를 탑재한 ‘토레스 EVX’를 판매하는 KG 모빌리티(이하 KGM)가 대표적이다. 토레스 EVX는 KGM이 생산·판매 중인 유일한 전기차이며 ‘가성비’를 무기로 내세우고 있어 구매 가격이 판매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KGM 관계자는 “(개편안에 대해) 우려되는 점이 있다”며 “전기차 시장이 침체된 시점에서 LFP 배터리에 대한 보조금을 줄이면 전기차 판매량이 더욱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