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튀 행동주의 부추기고 경영권 흔들 수 있다는 우려도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라는 멍석이 깔린 틈을 타 행동주의 펀드들이 활개를 친다. 주가 상승이라는 공통된 목표 아래 개인투자자도 이들 행동주의 펀드에 지지를 보내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행동주의 펀드의 과도한 경영 개입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자칫 과도한 주주환원 요구가 재무구조악화, 투자위축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어서다.
시장 전문가들은 진정한 ‘행동주주의’가 한국 자본시장에 뿌리를 내리려면 단기 주가 부양이 아닌 정부의 실효성 있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나와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낸다. 그래야 ‘행동주의 활동 강화→주주가치 제고(배당, 자사주 소각 등)→기업 밸류에이션 상향(국민 부 증대)→기업 투자 확대→경제 성장’이라는 선순환 고리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3월 정기주주총회와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도입 시기가 맞물리면서 행동주의 펀드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삼양패키징 주가는 최근 상장 이래 최저 수준까지 곤두박질쳤다. 6년 전 공모가(2만6000원) 대비 40% 수준으로 하락했다가 VIP자산운용의 공시 이후 주가가 10%가량 상승했다. VIP자산운용은 3월 정기주주총회를 앞두고 지분 보유목적을 ‘단순투자’에서 ‘일반투자’로 변경했다. 자사주 매입과 소각 등 투자자들이 예측할 수 있는 중기 주주환원정책 제시를 요구하기 위해서다.
경영권 분쟁이 끝난 남양유업에서도 행동주의 펀드의 활동이 예고돼 있다. 차파트너스자산운용은 사모펀드(PEF) 운용사 한앤컴퍼니(한앤코)에 소수지분 공개 매수를 촉구하고 있다. 인수·합병(M&A) 과정에서 일반주주가 소외됐다는 게 이유다. 차파트너스는 한앤코에 주당 82만 원에 보통주 및 우선주 일반주주 지분 50%를 매입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기업가치(지배구조 개선)를 끌어올리고, 주주가치 제고에도 긍정적이라는 데 이견은 없다.
문제는 부작용이다. 최근 행동주의 펀드에 편승하려는 움직임이 강해졌다. 개미들은‘빚투(빚내서 투자)’에 뛰어들고 있다. 8일 현재 저 주가순자산비율(PBR) 기업이 많은 유가증권 신용거래융자잔고는 9조165억 원에서 9조6804억 원으로 6639억 원으로 급증했다. 정부 주도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과 행동주의 펀드에 대한 기대감에 저PBR 종목들을 사들이기 위해서다.
제2, 3의 ‘강따’(강성부 따라잡기)도 나타나고 있다. 한진칼, 오스템임플란트에 대한 학습효과 때문이다. 투자법은 이렇다. 행동주의펀드가 저격하는 기업에 일단 따라 들어간다. 행동주의펀드가 지분을 추가로 매입하거나, 주주 서한을 보내는 등 이벤트가 있을 때 뉴스가 쏟아지고 주가가 뛰면 팔고 나오는 식이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행동주의 펀드의 목적은 결국 수익”이라며 “소액주주와 연대한 행동주의 펀드들의 요구가 기업의 성장과 펀더멘탈 강화에 반드시 도움이 될지는 의문스러울 때가 있다”고 전했다.
시장 질서도 흔든다. 자본시장연구원이 주주행동주의 대상 상장사 15개의 평균 주가 상승률 추이를 조사한 결과 주주제안 이후 20거래일에는 주가가 13.27% 상승했지만 40거래일 9.06%, 60거래일 2.23%, 110거래일 0.23%로 점점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의도와 배치되는 현상이다.
“배당 확대 등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지지하지만, (실현 가능할지) 외국인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반신반의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대기업을 상대로 배당 확대, 자사주소각 등을 요구하며 ‘주주환원 확대’에 적극적인 한 행동주의 펀드 대표는 본지와 만난 사석에서 한국 정부와 금융당국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의 불신을 전했다.
그럴만하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한 토론회에서 “민간기업이기 때문에 은행의 경영 활동에 정부가 과거처럼 관여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했지만, 정부와 금융 당국자들은 공재로 명명한 은행에 연일 날을 세우고 있고, 기업에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라며 압박하는 모양새다.
시장과 재계에서는 일관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주문한다. ‘주가 부양이 곧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해소’라는 공식은 아니기 때문이다.
자칫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먹튀’ 행동주의와 기업 경영권만 흔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자사주를 한 예로 보자. 자사주 자체로는 의결권이 없지만 자사주를 백기사(우호 주주)에게 매각하면 의결권이 되살아난다. 이 때문에 기업들은 자사주를 유사시 경영권 방어 수단으로 활용해 왔다. 2015년 삼성물산은 엘리엇 사태 때 자사주 5.8%를 우호세력인 KCC에 넘겨 승리했으며, 2003년 SK는 소버린 사태 당시 자사주 6.2%를 신한은행과 하나은행 등에 매각해 경영권을 지켰다.
섣부른 정책은 행동주의 펀드와 투자자들의 불신으로 이어져 시장 변동성만 키울 수 있다.
의결권자문사인 서스틴베스트는 최근 일본 사례를 들어 “기업의 거버넌스 관행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일관성 있는 제도 운영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업의 태도도 달라져야 한다. 투자은행업계 한 관계자는 “주주환원을 비용으로 생각하는 기업들의 생각이 바뀌어야 한다. 미래를 위한 투자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