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개발협회, 서울 오피스텔 1500실 등기부등본 조사
오피스텔 거주 가구 대부분이 청년과 1ㆍ2인 가구로 구성된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주거수요 대응을 위해 오피스텔을 포함한 비아파트 공급이 주거 안정에 중요하다는 의견에 힘이 실린다.
15일 한국부동산개발협회 정책연구실 조사에 따르면, 오피스텔 거주 가구의 69.1%는 2030세대로 나타났다. 또 92.9%는 1ㆍ2인 가구로 집계됐다. 거주 형태는 82.9%가 전세 또는 월세로 나타났다.
거주 면적은 79.8%가 전용면적 40㎡형 이하로 집계됐다. 특히, 1인 가구는 전용 40㎡형 이하 오피스텔 거주비율이 90.3%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반면, 2인 가구는 50.4% 수준에 그쳤다. ‘전용 60㎡ 이상, 85㎡ 이하’ 비율은 19.9%로 조사됐다.
전반적 거주 만족도는 오피스텔 주거자가 타 주택유형 대비 가장 높았다. 상업・준주거지역과 역세권에 공급되는 특성상 상업시설 및 대중교통 접근 용이성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개발협회 정책연구실은 “오피스텔이 양질의 주거공간으로써 청년층과 1·2인 가구의 주거수요에 대응함으로써 주거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
오피스텔 소유자는 전체의 60%가 50대 이상으로 조사됐다. 보유 기간은 평균 8.8년으로, 자가점유 비중은 2.5% 수준으로 대부분 임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자본수익률은 2.5%, 소득수익률은 5.6%로 나타나 오피스텔이 시세차익을 추구하는 상품보다 안정적 월세수입을 목적으로 하는 임대상품임을 확인됐다.
앞서 정부는 지난 1·10 부동산 대책에서 향후 2년간 준공되는 신축 오피스텔을 구입하거나 기축 오피스텔을 구입하여 등록임대할 경우 해당 오피스텔을 주택 수에서 제외하는 세제완화 정책을 발표했다. 다만, 2023년 12월 31일 이전 준공되거나, 구축 오피스텔을 구입한 경우 주택 수 제외에 인정받지 못해 형평성 문제가 불거지는 상황이다.
이에 협회 측은 “임대인에게는 안정적 임대수익을 제공하고, 임차인에게는 도심 속 양호한 주거공간에 거주할 수 있는 오피스텔 공급과 임대차시장 활성화를 위해 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승배 협회장은 “이번 분석을 통해 오피스텔은 투기재가 아닌 도심 내 임대차시장 안정에 기여하는 임대수익 목적의 투자재임을 다시 한번 분명히 확인했다”며 “그간 규제정책으로 오피스텔 공급(인허가)이 축소되었다는 점에서 신규공급(인허가)을 확대하려면 세제완화 대상을 ‘2년 내 준공’ 제한을 완화하고, 공사비 인상을 고려하여 금액기준도 현실에 맞게 상향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협회 연구실이 2021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한 ‘거주가구 특성’ 분석과 표본추출을 통해 1500개 서울지역 오피스텔의 등기부등본 열람 및 시세(매매·전세·월세)를 분석한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