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창] 아흔여섯 살 되신 어머니의 어린 시절

입력 2024-02-23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금 나의 어머니는 우리가 세는 나이로 아흔여섯이다. 몸은 많이 야위고, 거동도 많이 불편하시다. 아직 총기 있게 말씀하실 때도 있지만, 찾아간 아들이 누구인지 모를 때도 있다. 이러면 찾아간 자식들도 그게 안타까워 이내 한 번 더 찾아뵙게 된다. 좀 더 활기차고 총기 있게 말씀하시는 모습을 보면 한동안 안심스러운 마음이 된다.

어머니는 1929년에 태어나서 1937년에 강릉에 있는 보통학교에 입학했다. 6년 초등교육을 받는 동안 학교는 보통학교에서 심상소학교로, 다시 국민학교로 세 번 이름을 바꾸었다. 일제강점기의 말기였고, 일본이 이차대전에 참전하고 패배하던 시기였다.

그런 어머니가 추억처럼 떠올리는 세 가지 물건이 있다. 가끔 겉옷 위에 걸치는 망토 이야기를 하신다.

서울 작은집에 다녀오신 할아버지가 학교 다니며 추울 때 저고리 위에 덮개처럼 걸치고 다니라고 망토를 사 오셨는데 한두 번 입어보고는 학굣길에 사람들이 다 자신만 쳐다보는 것 같아서 추워도 입고 다니지 못했다는 것이다. 열 살쯤 된 소녀의 마음으로 충분히 그럴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다음 떠올리는 물건이 세라복이었다. 자료를 찾아보니 일본과 우리나라 여학교 교복의 원조가 되는 세일러복은 원래 세계 여러 국가의 해군이 함정 갑판에서 착용하던 제복이었다.

세일러복의 가장 큰 특징은 양쪽 어깨를 덮을 만큼 큰 옷깃이다. 함정 갑판에서 바닷바람 때문에 대화하기 힘들 때 이 옷깃을 귀 가까이 세우고 말을 나눴다고 한다. 또 세일러복 앞쪽 모습이 가슴 쪽으로 크게 벌어지는 역삼각형 형태를 띠고 있는 것도 바다에 떨어졌을 때 헤엄치기 쉽도록 옷을 쉽게 찢을 수 있게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런 세일러복이 세라복이라는 이름으로 일본 여학교의 교복이 되고 또 해방 후 우리나라 여학교의 가장 흔한 모습의 교복이 되었다.

어머니가 세라복을 입었던 것은 조선총독부가 전국 관공서 근무자와 학교 교원들에게 제복을 입게 하고 중등학교 이상 학생들에게 교복을 입게 할 때 국민학생은 굳이 교복을 안 입어도 되지만 어머니의 이모님이 조카에게 세라복을 직접 지어 선물했다고 한다. 국민학생이 그렇게 입고 나서자 다들 키가 작은 고등여학교 학생으로 여겨 그것이 부끄러워 몇 번 입지 못했다고 한다.

그리고 고무신은 일제가 대동아공영권을 앞세워 동남아를 침략하여 싱가포르를 함락한 다음 그것을 기념하여 각 학급마다 고무신 두 켤레씩 ‘덴노헤이카 하사품’이란 이름으로 나왔을 때 받았다고 했다. ‘경성고무공장’이나 ‘대륙고무공장’에서 나온 조선 고무신은 고무로만 만들었고, 어머니가 받았던 것은 고무와 말가죽 가루를 섞어 만든 일본식 고무신이었다고 했다.

그런 어린 소녀 시절 ‘국어(일본어) 상용’ 딱지를 나눠주고 친구가 조선말을 할 때 그걸 한 장씩 서로 빼앗고 빼앗기던 슬픈 추억도 이야기했다. 어머니가 옛 시절을 추억하며 지금도 세상 먼저 떠난 친구들에게 가장 미안하고 안타깝게 여기는 부분이다.

그런 중에도 옛날얘기만은 ‘무카시 무카시’ 하는 일본말이 아니라 ‘옛날에 옛날에’ 하는 우리말로 들어야만 제대로 재미를 느낄 수 있어 방과 후 집으로 오던 길에 대여섯 명의 소녀가 아무도 몰래 남의 집 짚가리에 들어가 옛날얘기를 나누던 얘기도 했다.

그러면서 글을 쓰는 아들에게 말씀하신다. 말이란 바로 그런 것이라고.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