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흥행과 함께 장재현 감독의 영화세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2015년 그의 장편영화 데뷔작 ‘검은 사제들’을 흥행시키며 관객과 평론가들에게 강력한 첫인상을 남긴 장 감독은 2019년 발표한 영화 ‘사바하’로 한국에서 오컬트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할 줄 아는 몇 안 되는 감독으로 통하게 됐습니다.
그리고 이번 ‘파묘’는 그런 장 감독식 오컬트 물의 ‘진수’로 꼽히고 있고요. 그러나 호평과 함께 한국의 장례문화나 무속신앙을 중심으로 전개될 줄 알았던 영화 내용이 생각과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 당황스러웠다는 평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영화 내에 등장한 민족주의적 색채가 그 이유인데요. 영화 ‘파묘’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에 대해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무속인과 풍수사, 장의사가 악지에 자리 잡고 있는 묘를 이장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영화 전반부가 전개된다면, 중반부 이후부터는 그 묫자리에 박혀있는 사연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바로 이 부분이 영화 ‘파묘’에 대한 호불호가 갈리는 지점입니다. 이 부분을 좋게 본 관객들은 장묘 문화와 한국 토속 무속신앙을 소재로 역사와 민족 이야기까지 건드린 장 감독의 ‘큰 그림’에 박수를 보내는 한편, 아쉽게 본 관객들은 영화 전반부와 후반부 사이에 ‘맥이 끊긴 것 같다’라는 감상을 내놓고 있는데요.
앞서 장 감독이 풍수지리와 무속신앙, 민족사를 엮어낸 것에 대해 “발톱의 티눈을 뽑아내듯 우리 과거의 아픈 상처와 두려움 같은 걸 뽑아버리고 싶었다”라고 이야기한 것을 고려하면 장 감독은 영화 ‘파묘’를 통해 한국 전통 장례문화가 주는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해 냄과 동시에 지금까지도 깊게 자리하고 있는 ‘민족적 한’을 파내 버리는 장면을 연출하고 싶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장 감독의 의도는 영화 속 인물들의 이름에서부터 드러나는데요.
유해진이 연기한 고영근도 명성황후 살해에 가담한 우범선을 처단한 독립운동가인 고영근 선생을 연상시킵니다. 고영근 선생은 독립협회 및 만민공동회에서 활동하신 독립운동가로 근대개화 개혁 운동을 전개한 분입니다. 또한, 이도현이 연기한 윤봉길 역시 동명의 독립운동가를 연상시키죠. 가장 잘 알려진 독립운동가이기도 한 윤봉길 선생은 일왕의 생일날 행사장에 폭탄을 던져 일본 상하이파견군 대장 등을 즉사시키는 거사를 치르고 현장에서 체포돼 총살됐습니다.
이외에도 극 중 등장하는 오광심과 박자혜 등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분들과 동명이인인 인물들이 다수 등장합니다. 이화림과 김상덕의 자동차 번호와 운구차 번호가 각각 0301, 0815, 1945라는 점은 더욱 절묘하죠. 위와 같은 영화적 요소들에 대한 질문에 장 감독은 “등장인물 이름에 대해서는 노코멘트하겠다”라고 답했습니다. 번호판에 대해서도 “우연이다. 미술팀이 신경을 많이 쓴 것 같다”라고 덧붙였고요.
그러나 장 감독의 “노코멘트”라는 답이 무색하게 관객들은 이미 ‘파묘’ 속 주요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의도된 이름이라고 기정사실화 하고 있습니다. 모든 주요 인물의 이름이 독립운동가와 일치한다는 점과 영화의 주제를 고려할 때 우연히 일치하기가 더 어렵기 때문이죠.
또한, 땅에 이순신 장군이 그려진 100원짜리 동전을 던지는 것을 두고 영화 ‘명량’에서 이순신 장군 역할을 연기한 최민식을 염두에 두고 선택한 것이라는 해석이 등장했는데 이에 대해 장 감독은 “보통 10원짜리를 던지는데 10원짜리를 던지면 흙과 색이 비슷해서 잘 안 보인다”라며 “그렇다고 500원짜리로 할 수는 없어서 결국 100원짜리를 선택한 것인데 얻어걸렸다”라고 명확히 했습니다.
영화 개봉 이후 ‘파묘’의 오컬트적 요소에 관한 극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풍수지리와 무속신앙 등 한국적 요소를 활용해 오컬트 장르의 신지평을 열었다는 평과 함께 ‘컨버스 신고 굿하는 무당’, ‘MZ 무당’ 등의 신선하고 힙한 요소를 작품에 잘 녹여냈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카메라 4대로 촬영한 김고은의 대살굿 장면은 35년 차 배우인 최민식 마저 “저러다 일 나는 것 아닌가”하고 걱정할 정도로 생생하게 촬영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