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교육위원회, ‘대전환의 시대 우리 교육의 길’ 대토론회
기후변화와 인공지능(AI)의 발달 등 사회가 급속히 변화하는 가운데 우리 교육이 학교교육에서 벗어나 평생교육을 더 강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인의 취업, 퇴직연령 등을 고려해 생애주기에 맞춘 현실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27일 국가교육위원회(국교위)는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이 같은 내용의 ‘대전환의 시대 우리 교육의 길’을 주제로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국교위가 추진하는 10년 단위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 시안 마련을 앞두고 진행됐다. AI 등 첨단 기술의 발달과 저출생 등 사회의 변화가 교육분야에 주는 시사점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기조 강연을 맡은 한경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은 현재 우리 사회가 △기후변화 등 생태계 문제 △저출생, 고령화 사회 △AI 등 첨단기술의 발전 △일자리의 급속한 변화 등을 겪는 ‘대전환의 시대’라고 지적했다.
한 사무총장은 “지금까지의 교육은 학교교육과 동일시해 왔지만, 교육을 둘러싼 현실을 좀 더 솔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면서 “평생교육 관점에서 교육의 틀을 짜야 한다”고 했다.
앞으로는 고등학교 졸업까지 대학입시를 목표로 이뤄지는 학교교육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교육을 위한 새로운 사회계약이 필요하다”면서 “교육권을 학령기에 학교에서 교육받을 권리로 인식하는 것을 넘어,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이 삶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로 확장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평생교육은 기후변화, 세계시민교육 같은 글로벌 이슈까지 다뤄야 한다”면서 “학교교육을 평생교육의 한 부분으로 놓고 앞으로 학교나 대학과의 관계에서 서로 어떻게 도움이 될지, 어떻게 서로 윈윈(win-win)할 수 있을지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이라고 짚었다.
토론자로 나선 이수형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한국인의 생애주기에 맞춰 현실적인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인은) 18세까지 보육과 초등 및 중등교육을 받고 이후 대부분 대학에 진학을 한다”며 “이것이 일반적으로 한국 교육정책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되는 부분”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작년 통계에 따르면 기업체에 취업한 대졸자 신입직원 평균연령은 31세이고, 희망퇴직 등 비자발적 퇴직 평균연령은 49세에 불과하다”면서 “학생과 부모 입장에서는 취업까지 31년간의 교육투자를 하게 되지만, 투자 수익을 누릴 수 있는 안정적 소득을 얻는 기간은 19년뿐”이라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이러한 현실을 언급하며 향후 한국교육 정책을 입안할 때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먼저 “교육정책은 정책의 궁극적인 고객인 가계, 기업, 한국사회가 필요로 하는 구체적 성과물을 정책 지표로 삼아야 한다”면서 “한국교육이 경제적 자립 능력을 잘 개발시켜주는지, 사회에서 활동할 수 있을 때까지 능력을 개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얼만큼 걸리는지 등을 평가해 봐야 한다”고 했다.
이어 “교육정책을 입안할 때 고립주의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세계화적인 넓은 시각이 필요하고, 교육정책은 아이들이 성인이 돼서도 적극적으로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설계돼야 한다”며 “저출산 고령화를 맞은 한국에서 성인의 건강유지는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과제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 외에도 이날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인공지능학과 교수는 ‘미래 산업·기술의 변화와 교육’을 주제로 발표에 나서 인공지능이 가진 강점과 특별함을 활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교수는 인공지능 등 과학기술 활용을 위해서는 “인문학, 사회과학을 포함한 다양한 학술적 연구결과에 도움을 받는 '확장된'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