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억 받아 9.2배 불렸다…中企 체질개선 지금이 골든타임 [사업전환, 中企 구원투수 될까]

입력 2024-02-29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에스에이테크, 정부지원에 변신…피벗으로 매출 280%.고용 134% ↑
신사업 전환 위해 자금 절실한데…관련정책ㆍ예산 제자리 “경영애로”

#에스에이테크는 2008년 경남 창원에 설립됐다. 창원과 김해에 공장 3개를 두고 내연차 부품과 반도체 설비 부품을 절반씩 생산했다. 하지만 내연차 시장 축소에 기업 경쟁력은 날이 갈수록 떨어졌다. 2018년엔 급기야 적자를 냈다. 에스에이테크의 박상일 대표는 산업계의 대내외적인 급변을 극복하고 임가공 중심의 저수익 구조에서 탈피하기 위해 사업전환을 결심했다. 설립 10년 만인 2018년 사업전환을 승인받고, 3년 만에 전환을 마무리했다. 정부로부터 받은 지원 규모는 28억 원이다. 에스에이테크의 매출은 2018년 92억 원에서 2021년 303억 원으로 3배 이상 확대됐다. 2022년엔 334억 원, 지난해 추정치는 350억 원이다. 이 기간 직원 수는 61명에서 143명으로 두 배 넘게 늘었다.

#1977년 설립돼 산업용 분쇄기를 제조해온 대가파우더시스템은 매출 부진에 2022년 지혈제, 바이오잉크 등을 생산하는 바이오 메디컬 제품으로 방향을 틀었다. 분체기계 제조 명문 장수기업에서 규제자유특구 지정 분야인 신사업으로 전환을 추진했다. 2020년 265억 원에서 2021년 235억 원으로 둔화됐던 실적이 사업전환을 승인받은 2022년 323억 원으로 올라섰다. 지난해 매출은 350억 원으로 추정된다.

중소기업들이 사업전환을 통해 경영 위기의 출구를 찾고 있다. 시장 축소로 인한 경쟁력 약화와 탄소중립 및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디지털 전환 등 산업계 대전환에 대응해 생존력을 높일 수 있도록 피벗(사업 전환)을 더 활성화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소기업 사업전환계획 승인 건수는 375건을 기록했다. 전년(318건) 대비 17.92% 확대됐다. 2021년(114건)과 비교하면 228.9% 증가했다. 중소기업 사업전환은 산업환경의 변화로 위기에 직면한 중소기업이 새로운 사업에 진출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구조를 고도화 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사업전환계획 승인 건수가 가파르게 증가한 것은 사업전환 제도의 근거법인 ‘중소기업 사업전환 촉진에 관한 특별법’이 지난해 지원범위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정돼 장벽이 낮아져서다. 예를 들어, 내연 자동차에 사용되는 납축전지배터리 제조기업이 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이온배터리 제품으로 전환이 필요한 상황인데도 업종이 축전지제조업으로 같아 사업전환 지원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법 개정으로 이런 경우 사업전환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됐다. 사업전환자금 융자 예산이 2021년 1000억 원에서 지난해 2500억 원으로 2배 이상 증액된 것도 수요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이 기간 융자지원 업체 수는 2배 넘게 늘었다.

전문가들은 사업전환이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는 데에 입을 모은다. 생산성은 중소기업의 성장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인이다. 대기업과의 임금 격차, 경쟁력, 인력난 등 중소기업이 안고 있는 많은 문제가 대체로 생산성 문제에서 출발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사업전환은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의 가장 중요한 툴 중 하나”라고 말했다.

실제 중소벤처기업부가 지난해 사업전환을 완료한 중소기업을 분석한 결과, 사업전환을 시작한 2019년도 대비 고용 37.2%, 매출 39.0%가 증가하는 등 성과가 컸다. 에스에이테크 역시 사업 구조전환 5년(2018~2023년)만에 매출을 280% 키웠다.

하지만 중소기업들이 리스크를 감수하고 사업의 방향의 틀거나 비즈니스 모델을 바꾸긴 쉽지 않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이 2020년에 발표한 ‘중소기업 사업전환 지원방안 연구’에 따르면 경영개선이 절실한데도 방법을 몰라 기존 업종을 유지하는 기업들이 적지 않다. 또 준비 시간과 자금 마련을 가장 큰 애로로 꼽았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2022년 조사에서도 중소기업 10곳 중 8곳(85.4%)이 사업 구조전환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했지만, 10곳 중 2곳만이 수립된 계획을 진행했다.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지만 준비 수준은 낮다는 의미다.

다만 관련 예산은 2500억 원 수준에 그친다. 그나마 올해 3125억 원으로 25% 확대됐지만 산업계 변화의 속도와 탄소중립 대응에 대한 준비 등을 감안하면 대폭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일본은 2021년 중소기업 등의 사업재구축보조금 지원에 1조1485억 엔(약 10조1600억 원)을 투입했다.

노민선 연구위원은 “사업전환 예산은 향후 몇 년간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면서 “특히 사업전환을 활성화 하면서 기업들이 한계 상황에서 억지로 연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빚과 이자 부담에 고통을 겪는 한계기업 중 기술력과 경쟁력을 가진 기업을 선별해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올해 고금리 장기화와 지속적인 경기 둔화로 한계 중소기업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한계기업 수는 이미 2022년(3903개)기준 4000개사에 육박한다.

업계에선 2026년 시작되는 EU의 CBAM를 고려해 핀셋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이지우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구조혁신처장은 “올해 중진공이 ‘CBAM 대응 인프라 구축사업’을 신규로 추진한다”며 “대응 첫 해인 만큼 관련 사업전환승인 신청 등이 집중적으로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중진공은 인공지능(AI), 로봇 관련 업체의 사업전환 지원도 올해 본격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2년 연속 300건대를 보인 사업전환계획 승인 건수는 올해 400~500건 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