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계에선 사업전환 제도가 안착하기 위해 해당 제도에 대한 정책적 보완이 촘촘해져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지난해 중소기업 사업전환법을 개정해 인정범위를 확대하고 공동사업전환 제도를 신설하면서 업종을 추가하거나 피벗(사업전환)에 나서는 기업이 늘어날 가능성이 커서다.
특히 새롭게 신설된 공동사업전환 제도는 독자적으로 사업전환에 나서기 어려운 중소기업이 공급망 내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등과 협력해 사업전환에 나설 수 있게 했다. 첫 사례는 지난해 12월 나왔다. 특수강 제조 대기업인 세아베스틸을 중심으로 9개 중소기업이 상생 협력한다. 제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산업용 소재로 재활용하는 사업과 내연차 부품에서 미래차 부품을 제조하는 사업으로 함께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금융권과의 협업도 필요하다. 이지우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구조혁신처장은 “사업전환 지원에서 정부가 소화하기 어려운 규모에 대해 은행과 같이 협업해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사업전환 승인을 한 기업에 대해 금융권이 신규 대출을 하는 방식 등이다. 협업대출, 협업펀딩 등으로 지원 금액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인력 지원도 필수 연계 정책으로 꼽힌다. 사업전환 작업의 핵심 중 하나는 지원센터의 컨설팅 역량이다.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구조를 고도화하려면 우수한 컨설팅 인력을 육성하거나 민간 부문 전문가를 다양하게 활용해야 한다. 특히 인공지능(AI), 첨단 로봇, 첨단 바이오, 시스템반도체, 친환경·에너지 등 국가 전략산업으로 산업지도를 재편하는 것이 핵심 과제인 만큼 ‘전문성’의 중요성은 더 커질 전망이다. 사업전환을 담당하는 중소벤처기업흥공단이 민간 네트워킹 역량을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또 국가 전략기술과 관련한 중소기업 내 전문가 양성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사업전환 제도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선 일시적인 자금 지원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정책적 수단과 연계하는 것이 효율적이다”며 “인력 양성이 대표적인 연계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1년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이 발표한 ‘중소기업 사업전환 지원방안 연구’보고서는 성공적인 사업전환을 위한 핵심 포인트에 대해 “경영자의 역량과 의지가 가장 중요한 기본적 성공 요소”라며 “기술 경쟁력, 공백기에 소요되는 경영자금, 전문인력, 네트워킹, 정보력과 판로 등 마케팅 능력”을 꼽았다. 보고서는 “중소기업 사업전환 전략은 혁신적 피벗 중심이 돼야 한다”며 “이는 신시장과 신제품 개발·신자원 획득·생산조직 개선 등을 모두 포함한다. 사업전환 지원을 위해선 비즈니스 시스템 혁신, 생산성 향상을 위한 경영개선, 인수합병(M&A) 등을 포함하도록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