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 후 미분양 주택 증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넘치는 공급을 소화할 수요를 찾기 힘들어 보이는 부산 등 일부 지역은 대구와 마찬가지로 '미분양 무덤'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6일 국토교통부 주택통계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만 1363가구로 1년 새 50.6% 증가했다. 같은 기간 미분양 주택이 7만5359가구에서 6만3755가구로 15.4% 줄었지만,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오히려 늘었다.
작년 1월 7546가구에서 6월 9399가구까지 증가했던 준공 후 미분양은 7월 9041가구로 감소했다가 다시 확대됐고 10월 1만 가구를 넘어섰다.
1년 전과 비교해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증가 폭은 수도권이 75.6%로 지방(45.5%)보다 컸다. 서울(33%)과 인천(78.1%), 경기(98.7%) 모두 준공 후 미분양이 늘었다.
지방에서는 광주(395.6%)와 충북(287.1%), 대구(284.5%)가 두드러졌고 전북(75.3%), 경남(73.5%), 충남(56%), 제주(56%), 울산(35.5%), 부산(26.5%), 전남(32.1%)도 증가 폭이 컸다.
다만 수도권 중 서울은 실거주와 투자 수요가 꾸준한 곳이고 준공 후 미분양이 455가구로 규모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는 전체 미분양이 전국 평균보다 빠르게 소진되는 등 수요가 지속되고 있는 데다 공급된 물량에 비해 준공 후 미분양 비중이 작다. 경기도의 올해 1월 말 기준 전체 미분양 물량은 6069가구로 1년 전보다 24.6% 감소했다. 준공 후 미분양은 1182가구로 2021년부터 올해 1월까지 일반분양한 아파트 15만4998가구의 1%에도 못 미친다.
지방 가운데 광주(223가구)와 충북(120가구), 전북(149가구), 울산(187가구)은 준공 후 미분양 규모가 크지 않다. 충남(37.2%)과 경남(22.2%)은 전체 미분양 감소 폭이 큰 편이다.
하지만 이들을 제외한 지역, 그중에서도 부산은 미분양 우려가 큰 상황이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부산은 너무 많은 물량이 공급됐는데 투자수요가 유입되기 어렵고 인구감소로 실거주 수요도 늘어나기 쉽지 않다는 점, 인허가·착공 실적 등을 고려하면 지금 같은 상황이 수년간 지속될 수 있다"며 "미분양 문제가 심각한 대구와 같은 상태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부산은 1년 전과 비교해 전체 미분양과 준공 후 미분양이 모두 증가했다. 전체 미분양은 2646가구에서 3372가구로 27.4%, 준공 후 미분양은 926가구에서 1174가구로 26.8% 늘었다. 2021년부터 올해 1월까지 일반분양 물량 중 준공 후 미분양 비중은 6%대로 전국 평균인 2.15%를 크게 웃돈다.
인천도 요주의 지역으로 꼽힌다. 윤 위원은 "인천은 특정 지역만 부진한 경향이 있었는데 최근에는 전반적으로 분양 성적이 좋지 않아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며 "신호등으로 보면 노란색에서 빨간색으로 넘어가는 단계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전남에 대해서는 부산과 마찬가지로 전체 미분양과 준공 후 미분양이 늘었고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비중이 6%에 가깝지만, 인허가 상황 등을 고려할 때 큰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제주는 공급과잉이란 점에서는 부산과 같지만, 경기상황에 따라 투자수요가 빠르게 유입될 수 있다는 점에서 미분양 문제 해소는 한결 수월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