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전쟁 등 위험에 선호도 ↑
소련 아프간 침공 당시인 45년 전과 비슷
중국 소비자ㆍ인민은행 금 적극 매입이 뒷받침
금리 인하 깜빡이 켠 연준에 금값 인상 기대 점증
국제 금값이 연일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글로벌 지정학적 위기 고조, 중국의 전략적 대규모 금 매입,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깜빡이 등 ‘트리플 호재’를 맞으면서 날개를 달았다고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인 전날 4월물 금 선물 가격은 전일 대비 0.93% 오른 온스당 2185.5달러로 마감하며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4일(2126.30달러) 처음으로 2100달러 선을 넘어서며 최고치를 찍고 나서 계속 상승해 닷새째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금값은 전날 장중 한때 온스당 2200달러(약 290만 원) 선도 넘었다.
지난주 금값 추이에 대해 블룸버그는 이란 혁명으로 왕조 체제가 무너지고, 소련(현 러시아)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1979년과 비슷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 간의 전쟁, 친이란 예멘 후티 반군의 홍해 상선 공격 등 무력 충돌이 잇따르고 있다.
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폭탄 발언에 따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위기론도 지정학적 위험을 부채질하고 있다.
미국 등 전 세계 76개국에서 선거가 치러지는 ‘슈퍼 선거의 해’를 맞아 정치적ㆍ재정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에 대한 매력을 키우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중국을 중심으로 신흥국들이 막대한 양의 금을 매입한 것도 금값을 끌어올리고 있다. 지난해 금리가 치솟자 서구권 투자자들은 금에 등을 돌렸지만, 중국을 중심으로 신흥국 중앙은행들은 대규모 매입을 단행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직후 경제 제재로 러시아의 외환보유액 3000억 달러를 동결시키자 대비에 나선 것이다. 인민은행은 기존에도 달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금을 전략적으로 매입하고 있었다. 폴란드와 싱가포르 등의 중앙은행도 외환보유액 다각화 차원에서 금을 적극적으로 사들였다.
여기에 중국인들의 금 투자 수요도 가세했다. 중국 주식ㆍ부동산 시장이 침체되자 일반 투자자들도 자신의 자산을 방어하기 위해 금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중국의 금 수요를 보여주는 스위스의 대중국 금 수출은 1월에 12만2380kg으로 전달(3만9625kg)보다 거의 세 배 폭증했다.
중국의 금 매입이 지난해 금 시장의 기둥이었다면 연준의 통화정책은 현재 금값 랠리를 지탱하는 최대 요소로 지목되고 있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로 차입 비용이 낮아지면 일반적으로 투자에 따른 이자를 거의 제공하지 않는 금에 대한 선호도가 올라가게 된다. 미국 연방기금 금리 선물 트레이더들은 6월 연준이 금리를 내릴 가능성을 67%로 보고 있다.
이에 월가에서는 금값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TD증권의 원자재 전략 총괄 담당자인 바트 멜렉과 독립 애널리스트인 로스 노먼은 각각 2분기와 향후 6개월 이내에 금값이 2300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씨티그룹은 4일 메모에서 “하반기 금값이 2300달러를 기록할 확률이 25%”라며 “향후 12∼16개월 내 3000달러에 도달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