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불모지’ 경기북부 볕 들까…‘40조’ 경기철도기본계획 수혜지는?

입력 2024-03-21 16:06수정 2024-03-21 16: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기도 철도기본계획(2026~2035년) 노선도. (자료제공=경기도청)

경기도가 경기북부 지역에 고속철도를 연장하고, 남부에는 ‘반도체선’을 신설하는 내용을 담은 ‘경기도 철도기본계획’을 내놨다. 총 40조 원을 투자해 2035년까지 42개 노선을 신설·연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철도 불모지인 경기 북부지역에 신설 노선이 집중돼 노선 건설이 현실화하면 장기적으로 일대 교통 개선과 함께 부동산 유입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다만, 사업 타당성 검토 문턱을 넘어야 하고, 정부 철도계획에는 미반영된 노선인 만큼 단기 시장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평가다.

21일 경기도에 따르면 김동연 경기지사는 19일 40조7000억 원 규모의 철도 건설 계획을 담은 경기도 철도기본계획(2026~2035년)을 발표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민이 가장 필요로 하는 해결 과제는 교통 문제”라며 “철도는 도민의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이므로 더 빠르고, 더 안전한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가장 눈에 띄는 계획은 고속철도 경기북부 연장 계획이다. 먼저 KTX를 문산까지, SRT는 의정부까지 연장 운행하겠다고 했다. 현재 KTX의 경기 북부 한계선은 고양 행신역이다. 이에 고양 행신 차량기지에서 경의선 능곡역까지 선로를 신설해 파주 문산까지 운행하겠다는 계획이다. 행신역과 능곡역 간 거리는 1.3㎞ 수준으로, 연장이 결정되면 예산 부담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또 SRT는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 ‘수서-삼성’ 구간과 신설될 GTX C노선 ‘삼성-의정부’를 이용해 연장할 계획이다. 의정부역은 현재 고속철도를 이용하려면 가장 가까운 서울역까지 지하철 1호선으로 약 55분이 걸린다. SRT 수서역까지는 최소 두 번 이상 지하철 환승을 거쳐 약 1시간 30분가량 이동해야 하는 만큼 고속철도역 개통 시 경기북부지역의 수요가 기대된다. 이 밖에 의정부역은 고양 능곡과 이어지는 ‘교외선’의 하반기 운행 재개와 함께 전철화를 추진한다.

앞서 의정부시는 기존 GTX C노선 정차와 지하철 7호선 연장 개통 등이 확정되면서 한차례 집값이 들썩인 바 있다. 2021년에는 ‘의정부역 센트럴자이앤위브캐슬’ 전용면적 84㎡형 입주권이 10억 원에 거래되는 등 강세를 보였다. 이에 SRT 연장까지 확정되면 추가 집값 상승도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아울러 경기 남부에서 눈에 띄는 노선은 용인 남사와 원삼, 이천 부발 등을 연결하는 ‘반도체선’ 신설 계획이다. 또한 경기 시흥시와 광명시, 서울 금천·관악구를 연결하는 ‘신천신림선’과 ‘별내선 의정부 연장 노선’ 등 서울 접근성을 높일 기존 계획 노선의 추진도 언급됐다. 각각 경기 서남부와 동북부 지역의 서울 도심 접근성을 강화할 노선들로 완공 시 해당 지역 집값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이번 경기철도기본계획은 지금까지 교통이 좀 수월하지 않은 곳을 중심으로 사업 진행을 예고하고 있다”며 “서울과 연결되는 파주 문산과 판교와 이어지는 이천, 남사, 안성 등이 수혜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사업 실현 가능성은 경기 남부지역이 더 크다고 평가했다. 송 대표는 “반도체선이 지나는 지역은 반도체 클러스터의 핵심지로 꼽히는 데다 동탄까지 이어지는 만큼 성장 가능성이 크다”며 “일자리도 집중돼 자금 조달 등 사업 현실성이 남부가 더 크다. 철도 수용 인원이나 반도체 특성화 지역 등이 타당성 분야에서 고(高)평가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정부가 아닌 도 차원에서 계획을 제시한 만큼 향후 정부 차원의 계획 수립까지 통과해야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인구가 적은 북부지역의 타당성 검토 통과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당장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고준석 연세대 경영대 상남경영원 교수는 “당장은 해당 지역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같다”며 “경기도에서 발표한 계획이고, 최종적으로는 국토교통부 등 국가가 타당성 등을 검토해 승인해야만 건설이 진행된다. 결국, 타당성 검토를 통과하려면 수익성이 확보돼야 한다”고 말했다.

송 대표는 “지역별로 수익성이 달라 자금 조달 문제 등이 발생할 것”이라며 “교통 개선이라는 지역 자체 호재로는 작용할 수 있지만, 외부 투자 수요 유입 등의 파급력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