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明)만 있는 것은 아니다. 고령층은 금융사 점포 폐점 전략에 큰 제약(暗)으로 꼽힌다. 이에 금융권은 금융교육, 시니어 특화 점포 등 금융 소외를 막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 중이다. 실버타운을 운영하거나 인생 2막을 찾는 노인들에게 재취업도 지원한다. 한국경제 소비의 큰 축으로 급부상한 파워시니어의 현 주소와 다른 한편으로 금융소외층으로 불리는 실버세대에 대한 금융사의 노력과 대응 등에 대해 알아본다.
5명 중 1명 노인…핵심 소비층
경제 패러다임 대 변화 예고
경제력을 갖춘 65세 이상 실버 세대들이 핵심 소비층으로 부상하면서 고령자·은퇴 세대를 겨냥한 이른바 ‘실버 이코노미’ 시장도 커지고 있다. ‘베이비 붐 세대(1955~1964년생)’까지 60대에 접어들면서 사회적인 영향력은 물론 경제력에서 ‘바잉 파워’(구매력)도 더욱 높아졌다. 국내 뿐 아니라 전세계의 걱정거리인 고령화가 새로운 ‘블루오션’ 영역이 되면서경제 패러다임의 대대적인 변화가 예고된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경희대 고령친화융합연구센터는 국내 65세 이상 고령 소비자 기준 고령친화산업 규모가 2030년 최대 168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20년 72조 원에 머물렀던 것과 비교하면 130% 이상 성장한 것이다.
이는 노년층 인구 증가와 비례한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 고령자통계’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950만 명으로 전체의 18.4%를 차지했다. 내년이면 노인인구 1000만 명을 넘어 인구 5명 중 1명이 노인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점쳐진다. 그만큼 일하는 노인도 늘어났다. 60세 이상 취업자 수도 사상 처음 600만 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622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36만6000만 명 늘었다.
단순히 고령의 근로자가 증가한 것이 아니다. 활동력과 충분한 경제력을 가진 시니어 계층도 급속도로 늘어나는 추세다. 이들은 젊은 소비자들보다 빠른 속도로 소비를 확대하며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LG경영연구원이 연령대별 1인당 평균 소비 금액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11월 기준 55~69세의 인당 평균소비는 젊은 소비계층인 25~39세의 85%로 크게 뒤지지 않았다. 코로나 19 직전인 2019년 55~69세가 25~39세보다 평균 75%만을 소비한 것과 비교하면 짧은 시간 내 10%포인트(p) 성장한 셈이다.
특히, 55~69세 전체의 소비지출 금액은 25~39세 소비 금액의 0.9배로 15년 전 0.4배 수준에서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전체 식료품 구입비는 젊은 세대의 2배에 육박했다. 이들의 니즈에 맞춰 간편하게 맛과 건강을 모두 챙길 수 있는 프리미엄 간편식 트렌드가 등장한 배경이다.
금융시장에서도 시니어계층의 영향력은 상당하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계 자산의 약 70%를 차지하는 부동산까지 합친 세대별 자산을 따져보면, 60세 이상이 가진 순자산이 전체의 46%에 달한다.
2021년 서울연구원이 세대별로 보유한 금융자산(은행 예·적금에 전·월세 보증금)에 부동산과 자동차 등 실물자산까지 조사한 결과, 1940~1954년 태어난 산업화 세대는 가구당 평균 3억3936만 원의 순자산을 가진 것으로 집계됐다. 1955~1964년 태어난 1차 베이비붐 세대의 순자산은 전체 세대 중 가장 많은 평균 4억966만 원이다. 이들을 합친 노인 세대가 전 세대 자산의 절반 가까이 가진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