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총선이 초읽기에 접어들면서 한 표가 아쉬운 여야의 선심 공약 경쟁도 점입가경이다. 구체적인 재원 조달 계획 없이 연간 수십조 원 규모의 혈세 투입을 전제한 현금성 공약과 전 국민을 겨냥한 고강도 감세 정책을 총선 막판에 쏟아내고 있다. 모두 국가 재정에 적잖은 부담을 줄 수 있는 공약임에도, 당장 4년 간의 의회권력 확보가 급한 여야가 합세해 '대국민 매표전'에 나선 셈이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일 영세 소상공인·자영업자를 겨냥해 부가가치세 간이과세자 적용 기준을 현행 연 매출 8000만 원에서 2억 원으로 올리겠다고 약속했다. 부가세를 내는 개인사업자는 매출액 등에 따라 일반(세율 10%)·간이과세자(세율 1.5~4.0%)로 나뉘는데, 세제 혜택 대상을 파격적으로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월 간이과세자 기준을 시행령으로 높일 수 있는 최대치(130%)인 1억400만 원으로 조정하겠다고 발표했다. 국민의힘은 22대 국회에서 관련 법을 손질해 정부가 올린 기준에서 약 2배 높이겠다는 것이다. 현행 대비 2400만 원 올린 것으로 14만 명이 감세 혜택을 보고 세수는 4000억여원 감소할 것으로 정부는 추산했다. 이것을 두 배로 높이면 줄어들 세수는 조 단위를 넘어설 수 있다. 이런 공약을 총선을 불과 9일 앞두고 발표한 만큼 야당에서조차 "자영업자는 반갑겠지만 총선을 이겨 법을 개정하겠다는 약속은 만우절 농담"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이에 더해 국민의힘은 지난달 28일 가공식품 등에 대해 부가세를 현행 10%에서 5%로 한시적으로 낮추는 방안을 정부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부가세수는 약 74조 원으로 전체 국세 수입 21.4%였다. 소득·법인세와 3대 세목으로 묶인 부가세 감면도 결국 정부 재정 부담으로 직결될 수 있다. 지난해 세수펑크 규모는 56조 원이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달 24일과 27일 △전 국민 1인당 25만 원 '민생회복지원금' △자녀 1인당 8~17세까지 월 20만 원 '출생기본소득' 지급을 각각 약속했다. 민생지원금 예산으로는 13조 원이 들 것으로 봤다. 이 대표는 "윤석열 정권의 부자 감세, 민생 없는 민생토론회에서 밝힌 선심성 약속 이행에 들 900조~1000조 원에 비하면 (13조 원은) 손톱 정도"라고 말했다. 출생소득과 별개로 0~18세까지 월 10만 원씩 펀드 계좌로 적립해주는 '기본자산 1억 원'도 공언했다. 공약 이행에만 연간 복수의 '손톱'이 들어갈 전망이다.
민주당의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은 1일 0~7세 아동에게 월 50만 원, 8~24세에 월 30만 원을 지급하는 내용의 '아동·청소년 기본소득'을 공약했다. 민주연합은 0~7세 기본소득에 14조5000억 원, 8~24세 기본소득에 30조 원 등 연간 44조5000억 원이 들 것으로 자체 추산했다. 이러한 정책이 시행되면 부부와 8~17세 사이 자녀가 둘 있는 4인 가구는 첫달 민생지원금 100만 원과 함께 매월 160만 원(출생 40만 원·청소년 100만 원·펀드 20만 원) 규모의 현금성 지원을 받게 된다.
기존 저출산 예산 조정·정부의 부자 감세 정책 폐기만으로도 추가 재정 부담 없이 시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단순 현금 살포에 쓰일 연간 재정 규모 자체가 지나치게 방대한 데다 정부여당의 협조를 기대하기 어려워 공수표에 그칠 공산이 크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3일 이러한 공약을 겨냥해 "재정 문제를 고려하지 않은 비현실적인 정책이 많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