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진 삼프로TV 이코노미스트
하지만 돌이켜 보면 우리는 경제전망에 있어 종종 적지 않은 실수를 범해왔다. 가령 미국경제는 작년에 실제 2.5% 성장했는데 국제통화기금(IMF)이 2022년 10월에 전망했던 이듬해(2023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1.0%에 불과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RB)가 2022년 12월에 전망했던 2023년 성장률은 이보다도 낮은 0.5%(중간값)에 불과했다. 거의 모든 기관들이 이처럼 경제전망에 크고 작은 실수를 범하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시점에서의 경제전망은 과연 어느 정도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을까. 연준은 얼마 전 3월 통화정책회의(FOMC)에서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을 2.0%로 전망했는데 이는 석 달 전 전망치(1.4%)보다 대폭 높여 잡은 수치다. 지금으로 봐서는 꽤 그럴 듯한 전망이다.
미국 경제는 지난 팬데믹 때 불경기와 회복기를 거쳐 2021년 1월부터 3년 이상 호황 국면을 이어가고 있는데 이는 1970년 이후 평균 67개월의 호황에 비해서는 짧은 편이다. 미국의 경우 호황이 곧 마감되기에는 소비와 기업활동이 아직 강하다. 또한 대출 연체율도 아직까지는 안정적이고 신용시장도 대체로 평온하다. 경기를 당장 크게 훼손할 만한 금융불안 요인이 적음을 뜻한다.
하지만 세계경제에 이러한 장밋빛 환경만 있는 건 아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지난 2월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작년의 3.1%에서 2.9%로 낮춰 잡았는데 특히 유로존을 0.6%로 아주 낮게 봤고 독일은 0.3%로 거의 불황수준을 예상했다. 미국 외에 많은 국가에서 수요부진을 쉽게 엿볼 수 있다.
경기 우등생인 미국도 최근 1~2년간 경기가 너무나도 좋았기에 역설적으로 이처럼 좋은 경기가 앞으로 지속될 수가 있을까 의문이다. 실업률이 아직 낮지만 고용시장이 정상에서 차츰 내려오고 있고 실질금리가 올라가면서 그간 가파르게 치솟았던 개인소득과 소비지출이 둔화 추세이고 금융기관들의 대출도 제법 큰 폭으로 꺾이고 있다.
한편 대표 신흥국인 중국의 경우, 정부의 경기 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지방정부 부채 문제와 건설 부동산 경기가 완전히 풀리지 않아 올해 4%대 초반의 낮은 성장률이 예상된다. 중국 경제가 이보다 더 둔화될 경우엔 중국이 미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 세계경제는 각양각색, 경기의 온도차가 꾀 큰 편이다. 세계에서 돈을 가장 많이 푼 데다 첨단산업의 약진, 강력한 소비 역량을 뽐내는 미국이 단연 앞서 가고 있지만 이에 비해 각국의 전통 제조업과 세계교역은 약한 편이다. 소수 혁신기업들의 실적이 화려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증시가 펄펄 끓어오르다 보니 세계경제가 마치 너나 할 것 없이 엄청난 호황인 것처럼 비춰지고 있지만, 여기엔 분명 착시 현상이 끼여 있다.
통상 경기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정평이 있는 장·단기금리 차이는 아직도 역전된(단기금리가 높음) 상태다. 뉴욕 연방준비제도의 장·단기 금리차 모델은 약 70%의 확률로 1년 후 미국경제의 침체를 예고하고 있다. 지금은 다소 설득력이 없지만 진짜 내년 이맘 때부터 미국경제가 더 이상 호황을 유지하기 어렵다면, 경기에 앞서가는 주식시장은 그 속성상 시간이 갈수록 점점 힘을 잃을 것이다. 사실 지금 멀리 있는 경기를 우리가 다 알 수는 없다. 지나친 비관도 해롭고 무작정 낙관도 위험한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경기의 내면을 두루 살피면서 ‘균형과 유연함’을 유지하는 게 옳다. 거시경제는 중립으로 두고 되도록 종목의 상승 여력을 중심으로 접근하다 보면 경기의 그림이 보다 선명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