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채권 투자 등 얻은 추가 수입, 재투자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경제학자들은 미국 경제가 침체는커녕 예상과는 달리 호황을 누리고 수십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에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통상 금리가 오르면 저축이 증가하고 시중의 돈이 은행으로 흡수돼 경제 성장이 둔화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2년간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경제가 활황을 띠면서 월가 일각에서는 ‘고금리 덕분에 경제가 호조세를 띠고 있다’는 파격적인 이론이 받아들여지기 시작했다.
이들의 논리는 이러하다. 기준금리가 0%대에서 연 5.25%~5.50%로 22년 만의 최고 수준까지 오르면서, 미국인들이 2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채권 투자와 저축을 통해 상당한 수입을 얻게 됐다. 그리고 미국 기업과 사람들이 새롭게 얻은 현금의 상당 부분을 수요와 성장을 촉진하는 데 소비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RBC캐피털 마켓의 파생상품 트레이더를 지내고 현재 ‘매크로투어스트’라는 투자 뉴스레터를 발행하는 케빈 뮤어는 “현실은 사람들이 더 많은 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라며 “과거와 달리 이번에는 미국 정부 적자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반대 급부로 사람들의 추가 수입이 늘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정부 부채가 10년 전의 두 배인 35조 달러(약 4경8510조 원)로 늘면서 고금리 환경 속에 미국과 해외 채권 투자자의 주머니로 유입되는 추가금액이 매월 500억 달러 정도에 이른다고 블룸버그는 부연 설명했다.
물론 주류 학계와 금융계에서는 고전 경제학과 반대되는 이 급진적인 이론을 대부분 외면하고 있지만, 몇몇 사람들은 최근의 경제적 증거로 인해 이를 무시할 수 없게 됐다고 말하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실업률, 기업 실적 등 주요 지표를 살펴봤을 때 현재의 경기 확장세가 연준의 첫 금리 인상 시점보다 비슷하거나 더 강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 GDP 성장률은 금리 인상 시작 직전 2개 분기 평균이 2.5%였으나 최근 4.2%로 확대됐다. 실업률은 3.8%로 유지되고 있으며, 기업들의 순이익은 3조 달러(약 4157조4000억 원)에서 3조4000억 달러로 늘었다.
마크 잔디 무디스애널리틱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급진적인 이론에 대해 “근거가 없다”면서도 “높은 금리가 과거보다 경제적 피해를 덜 주고 있다”고 인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