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은 이미 중국산이 점령
‘낮은 가격’을 무기로 내세운 중국산 공습에 국내 산업계가 시름 하고 있다. 중국의 경제 성장이 주춤한 가운데, 포화 상태인 자국 시장에서 소화되지 못한 물량이 글로벌 시장의 ‘과잉 공급’을 유발하고 있다.
18일 본지 취재에 따르면 최근 중국발(發) 석유화학업계 불황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업계와 협회 등이 대응책 마련을 위한 컨설팅을 진행 중이다.
업계 고위 관계자는 “업계 불황이 심각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생존을 위해 어떤 게 필요한지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며 “추후 대책이 마련되면 외부로 공개하고, 정부와 공동 대응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응책으로는사업재편과 설비 조정, 연구개발(R&D) 확대 등이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석유화학협회에 따르면 석유화학 산업의 기반인 나프타분해설비(NCC) 가동률은 2021년 93.1%에서 지난해 74%까지 떨어졌다. 중국이 2010년부터 에틸렌·프로필렌 등 기초유분과 중간원료 자급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대규모 증설을 지속한 결과다.
지난해 중국의 에틸렌 생산능력은 5000만 톤(t)을 돌파하며 세계 1위를 기록했다. 지난 30여 년간 한국 석유화학 산업의 우량 고객이었던 중국은 어느새 산업의 존폐를 위협하는 존재가 됐다. 국내 석유화학 제품의 대중국 수출 비중은 2010년 48.8%에서 지난해 36.3%까지 급감했다. 2030년에는 수출 비중이 30%를 밑돌 것이란 암울한 전망도 나온다.
중국의 밀어내기 물량은 제품 가격 하락까지 동반하고 있다.
김진홍 한국기업평가 연구원은 “중국이 석유화학 제품 자급화를 넘어 일부 제품에서는 순수출국으로 전환되면서 국내 업체들의 대중국 수출 규모가 축소될 뿐만 아니라 베트남, 인도 등 역내 주요 수출국에 대한 경쟁도 심화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국내 철강업계도 ‘차이나 리스크’에 발목을 잡혔다. 최대 수요처인 중국의 부동산·건설 시장 침체가 길어지면서 우리나라로 유입되는 중국산 철강재가 늘고 있다. 중국 업체들이 남은 물량을 헐값에 밀어내기 수출을 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산 열연강판 수입량은 1년 전보다 26% 늘어난 179만 톤으로 집계됐다. 값싼 중국산 철강재 유통이 급증하면서 국내 철강 판매가격(판가)을 끌어내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AI) 시대를 맞아 성장하고 있는 해저케이블 업계도 중국발 리스크에 시달리고 있다. 중국계 업체들이 저가 해저케이블을 앞세워 국내 시장에 속속 진출하고 있는 탓이다.
중국의 저가 공세는 비단 국내에만 그치는 게 아니다. 태양광 산업의 경우, 중국을 제외하고 전 세계에서 태양광 설치 규모가 가장 큰 미국 역시 과잉 공급 유탄을 맞았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보고서는 지난해 중국의 태양광 모듈 생산량은 615기가와트(GW)로, 전 세계 생산량(740GW)의 약 83%를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웨이퍼와 폴리실리콘 생산량에서 중국산 비중은 각각 95%, 90%로 나타났다.
미국에 진출한 국내 태양광 기업들의 근심도 깊어지고 있다. 전체 매출의 30%가 미국에서 발생하는 한화솔루션은 제품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올해 1분기 1000억 원 안팎의 영업적자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OCI홀딩스도 작년 말 미국 태양광 업체 큐빅PV와 체결했던 장기 공급 계약이 최종 무산됐다. 큐빅PV가 당초 계획했던 태양광 웨이퍼 생산공장 프로젝트가 중단되면서다. 그 배경에는 웨이퍼 가격이 급락하는 등 불안정한 태양광 업황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추측이 나온다.
미국은 이미 중국산 태양광 제품 수입을 제한해 왔으나 동남아를 우회해 들어온 물량이 태양광 시장의 공급 과잉과 가격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미국은 6월부터 동남아 우회 중국산 수입 물량에 254%의 반덤핑 관세를 매기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