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은 주로 ‘재활용’에 초점…원료 공급망 확보 주력
“재활용·재사용·재제조 판단할 이력 정보 관리체계 구축해야”
전기차 보급이 급속도로 확대됨에 따라 사용 후 배터리 시장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2050년 600조 원 규모로 성장할 사용 후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업계 경쟁도 치열하다.
사용 후 배터리는 크게 재활용, 재사용, 재제조 등 3가지 방식으로 활용된다.
재활용은 사용 후 배터리에서 리튬, 코발트, 니켈 등의 유가금속을 추출해 배터리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다.
전기차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방식은 재사용, 배터리를 분해하고 부품 교체 등을 통해 성능을 복원하는 것은 재제조라고 한다.
국내 기업들은 주로 재활용을 통한 순환경제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광물을 추출,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핵심광물 자립도를 높일 방안으로 꼽힌다.
포스코홀딩스는 중국 화유코발트, GS에너지와 합작해 광양 율촌산업단지에 리사이클링 전문 기업 포스코HY클린메탈을 설립했다. 포스코HY클린메탈은 폐배터리를 분쇄해 나온 블랙파우더에서 니켈, 코발트, 리튬 등 유가금속을 추출한다.
에코프로그룹은 에코프로씨엔지에서 재활용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재활용을 통해 추출한 원료로 전구체, 양극재 생산을 모두 아우르는 ‘클로즈드 루프 시스템’을 구현해냈다.
주요국의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배터리 셀 제조사들도 재활용 사업에 앞다퉈 뛰어들고 있다.
SK온은 지난해 말 헝가리에 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전담하는 법인을 설립했다. 유럽연합(EU)이 2월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한 ‘배터리 규정(Battery Regulation)’을 염두에 뒀다는 해석이다.
EU는 2031년부터 배터리에 들어가는 재활용 원료 최소 비중을 니켈 6%, 코발트 16%, 납 85%, 리튬 6% 등으로 맞춰야 한다고 규정했다. 2036년부터는 이 비중이 니켈 15%, 코발트 26%, 납 85%, 리튬 12% 등으로 상향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화유코발트와 협력하고 있다. 배터리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인 스크랩과 폐배터리 등에서 유가금속을 추출하는 공장을 중국에 건설 중이다. 이곳에서 생산된 원료는 최종적으로 LG에너지솔루션 난징공장에 공급될 예정이다.
최근 전기차에 탑재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비중이 늘면서 재활용뿐만 아니라 재사용 방식도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LFP 배터리에서는 뽑아낼 금속이 많지 않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장 친환경적이라는 이유에서다. LFP 배터리가 보편적인 중국에서는 폐배터리를 대부분 매립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재사용 분야는 ESS다. ESS용 배터리는 전기차용보다 성능이 낮기 때문에, 재활용 가치가 낮은 LFP 배터리를 ESS에 재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배터리 생태계에선 무엇보다 ‘친환경’이 중요한 만큼 재활용·재사용·재제조 측면에서도 친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며 “다만 사용 후 배터리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관리 체계는 아직 미비한 상황이라 제도적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