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연체율, 57개월 만에 최고…흔들리는 가계‧기업 [연체율 시한폭탄]

입력 2024-04-25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월 은행 원화대출 연체율 0.51%
중소법인 0.14%p 오른 0.76%
카드론 잔액 39.5兆 역대 최대
다중채무자 비중 23% 가장 많아

국내 시중은행의 2월 연체율이 4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소법인과 신용대출 등 신용 취약자의 연체율이 상승한 영향이다. 원리금을 갚기 버거운 차주들은 대출 문턱이 높아지자 ‘급전 창구’인 카드론으로 몰렸다. 상대적으로 고금리인 카드빚으로 돌려막기에 나선 차주들이 많아졌다는 의미다. 채무 부담이 커져 가계 부채 부실화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월 말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전월 말(0.45%)보다 0.06%포인트(p) 상승한 0.51%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5월(0.51%)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기업과 가계대출 모두 연체율이 올랐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0.50%)과 비교해 0.09%p 뛴 0.59%를 기록했다.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0.06%p 상승한 0.18%였다. 특히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크게 올랐다. 이 기간 중기 연체율은 0.10%p 오른 0.70%, 중소법인 연체율은 0.62%에서 0.14%p 상승한 0.76%까지 치솟았다.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0.56%에서 0.05%p 상승한 0.61%로 집계됐다.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모두 상승세를 보였지만, 신용대출 연체율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소액으로 돈을 빌린 차주들이 제때 돈을 못 갚고 있다는 의미로 읽힌다. 주담대 연체율은 전월 말 대비 0.02%p 오른 0.27%로 나타났다.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0.84%로 전월 말(0.74%) 대비 0.10%p 상승했다. 전년 동월 기준으로는 주담대 연체율이 0.20%에서 0.07%p 상승에 그친 반면,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연체율은 0.64%에서 0.20%p 급등했다.

연체율이 급등하자 금융사들은 일제히 대출 문턱을 높였고 돈을 빌리기 힘들어진 차주들은 카드론으로 ‘급한 불’을 껐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9개 카드사의 카드론 잔액은 39조4821억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전월(39조4744억 원) 대비 77억 원 증가한 규모다.

중·저신용자 대출이 카드론에 집중되자 금리까지 고공행진 중이다. 지난달 말 기준 7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우리·하나)의 평균 카드론 금리는 연 14.44%에 달한다. 지난해 7~9월 연 13% 후반대였던 것에서 연 14% 중반까지 오른 것이다.

원리금 감당이 버거운 차주들은 돌려막기에 급급한 실정이다. 한국은행이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세 곳 이상의 금융회사에서 빚을 낸 다중채무자는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450만 명으로 집계됐다. 전 분기 대비 2만 명이 늘어나 역대 최대다. 전체 가계대출자에서 다중채무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22.7%로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다중채무자인 개인사업자의 수도 늘었다. 양 의원실이 나이스신용평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개인사업자 중 다중채무자 수는 173만1283명으로, 전년 동기(168만1164명) 대비 5만119명(2.98%) 증가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가계부채는 크게 줄지 않고 있고, 채무자들의 변제능력은 떨어지고 있는데는 돈을 빌려준 금융사도 힘들다는 것이 문제"라면서 "다중채무자 증가, 연체율 상승 현상이 지속되면 금융사의 부실채권 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정부는 채무의 성격을 생계형과 투기형으로 분류한 후 생계형 채무인 경우에 지원해주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