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현로] 그린에너지, 재성장 돌파구 삼길

입력 2024-04-26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시장 포화…녹색전환이 대세
기술발전·정책 힘입어 성장가속도
산업경쟁력 제고·수주체제 갖춰야

최근 에너지산업의 메가트렌드는 그린에너지시장의 확대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에너지믹스에서 신재생에너지가 34%로 최대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하는데, 이는 주로 세계 각국의 녹색전환(GX: Green Transformation) 정책과 기술발전에 따른 그린에너지의 경쟁력 향상에 기인한다.

지금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많은 나라들이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녹색전환을 추진하고, 그린에너지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자국 내 막대한 그린에너지 투자를 지원하고 있는데, 작년 신규 전력용량의 84%가 그린에너지였을 정도로 이 분야 투자가 활발하다. 유럽연합(EU)은 기후변화 산업을 선점하고자 유럽그린딜 등 의욕적인 전략을 추진하고, IRA와 유사한 ‘탄소중립산업법’을 입법 중이다. 또 프랑스·체코 등 10개국 이상에서 상용원전 또는 소형일체형원자로(SMR)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탈탄소 산업을 육성하려고 작년 범정부 GX 추진전략을 마련했다. △20조 엔의 ‘GX 경제이행채’를 통한 투자 지원 △생산단계의 세액공제 △탄소배출권거래제 도입 등이 핵심인데, 지난 1월 말 GX 경제이행채 발행을 시작하는 등 속도를 내고 있다. 세계 최대 탄소배출국인 중국도 2060년 비화석에너지 비중 80% 이상과 선진국 수준의 에너지 효율을 목표로 그린 프로젝트에 외국기업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또한 세계 시장의 85%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태양광모듈 부문의 공급망 지배권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글로벌 그린에너지시장의 확대는 에너지산업에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그간 우리나라 에너지산업은 내수 중심으로 발전해 왔는데, 최근 인구 감소, 경제성장 둔화와 탄소중립정책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 하락 등의 위기를 겪고 있다. 이제는 신재생에너지·원전·수소 등 해외 그린에너지 시장 확대를 재성장의 돌파구로 활용하기 위한 범국가적 전략이 필요하다.

먼저 우리 산업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해상풍력의 경우 규제 완화 및 집적단지 개발을 통해 국내기업들이 취약한 실적(Track record)을 쌓는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원전은 발주국가들이 원하는 방식-엔지니어링·운영·R&D의 공동수행-에 맞는 수주체제를 갖추고, SMR 상용화에 대비하여 글로벌 선두기업의 공급망에도 미리 참여해야 한다. 태양광은 중국기업에 의해 국내 산업계가 고사당하지 않도록 특단의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지역별 시장여건에 맞는 진출방안도 찾아야 한다. 작년 국내기업의 아부다비 태양광발전소 수주와 스웨덴 풍력발전소 건설 등의 사례가 좋은 해법을 보여준다. 즉, 조기에 해외시장정보를 수집해 기회를 포착한 후, 관련업계 공동으로 수주활동을 전개해야 하고, 또 평상시에 현지 발주기관 및 업계와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작년 5월 정부가 구성한 ‘신재생에너지 해외진출협의회’가 업계애로 해결과 해외시장 진출의 명실상부한 지원창구 역할을 하도록 활성화해야 한다.

리스크에 사전 대비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올 11월 대선에서 트럼프가 승리할 경우 미국 그린에너지시장이 급격히 위축되고 이미 진출한 프로젝트들도 악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므로 미리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 또 인플레이션과 고금리, 프로젝트금융 시장 경색 등에 따른 비용상승 요인을 미리 계약조건에 반영하여 예상치 못한 사업적자 위험을 예방할 필요도 있다.

‘트렌드를 알면 비즈니스가 보인다’는 말처럼 트렌드는 성공적인 마케팅의 핵심 요소다. 국내시장 포화로 저성장 늪에 빠진 우리 에너지산업이 최근의 글로벌 녹색전환 트렌드와 그린에너지 시장 확대를 새로운 성장 돌파구로 활용하도록 노력할 때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