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월가 강세론자들은 중앙은행들의 기준금리 인하가 없이도 1990년대와 비슷한 강세장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견고한 글로벌 경제 성장이 증시를 충분히 지원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면서 1990년대 수년간 고금리가 유지됐음에도 주가는 3배 이상 급등한 미국을 예로 들고 있다. 올해의 경우 1분기 실적을 발표한 미국 S&P500 기업의 81%가 높은 금리와 무관하게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한 것으로 집계되면서 이러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권오성 미국 투자전략가는 “경제 호황은 금리 인하가 없더라도 주식을 계속 부양할 것”이라며 “이러한 전제에 있어 가장 큰 위험은 경제가 둔화하고 인플레이션은 계속 상승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세계경제포럼(WEF·일명 다보스포럼)에서는 글로벌 부채 위기를 경고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뵈르게 브렌데 WEF 회장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다보스포럼 특별 회의에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3.2%로 나쁘지는 않지만, 우리가 익숙해져 온 것과는 다르다”며 “수십 년간 성장률 추세는 4%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부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우린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00%에 가까운 부채를 지고 있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이 정도의 부채는 본 적 없다”고 강조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역시 같은 문제를 경고했다. IMF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GDP 대비 공공부채는 93%를 기록해 코로나19 대유행 이전보다 9%포인트(p) 높게 나타났다. IMF는 2020년대 말까지 이 비율이 100%에 가까워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중에서도 미국과 중국의 높은 부채 비율을 지적하며 느슨한 재정 정책이 금리와 달러를 압박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에서도 자국 경제 부채 부담에 대한 쓴소리가 연거푸 나오고 있다. 지난주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는 뉴욕 이코노믹 클럽 강연에서 “현재 국가 부채는 34조5000억 달러(약 4경7527조 원)로, 미국인 1인당 10만3000달러가 넘는다”며 “이는 국가가 매일 24억 달러를 이자로 내고 있다는 의미”라고 우려했다.
올해 초엔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미국은 지속 불가능한 재정 경로로 걷고 있다”며 “부채가 경제보다 빠르게 커지고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