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저축은행, 연체율 크게 상승…은행·보험 잔액 비중 높아
금융당국, 급한 불 끄기 나서..."부동산 PF 신속한 연착륙 노력"
저금리 기조 속 부동산 경기 호황에 ‘마구잡이’로 늘려왔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이 금융권에 ‘시한폭탄’으로 돌아왔다. 2020년말 92조 원 규모였던 부동산 PF 대출 규모는 4년 만에 135조 원으로 40조 원 넘게 늘었으며, 관련 연체율은 4배 넘게 급등했다.
특히 증권사와 저축은행의 가파른 연체율은 위태로울 지경이다. 은행과 보험은 건전성 관리에 만반을 기울이고 있으나 대출 규모가 워낙 큰 데다 금융당국의 추가 지원 압박을 받고 있어 안심할 수 만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2일 본지가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으로부터 단독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전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135조6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92조5000억 원 보다 무려 43조1000억 원 증가한 규모다.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2021년 112조9000억 원, 2022년 130조3000억 원으로 매년 불어났다.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도 4년 간 크게 악화됐다. 2020년 0.55%였던 연체율은 이듬해 0.37%까지 떨어졌으나, 2022년 1.19%로 급등하더니 지난해말 2.70%까지 치솟았다. 4년 간 4배 이상 오른 것으로 증권사와 저축은행, 캐피털이 주도했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증권이 13.7%로 4년 전(3.4%) 보다 10.3%포인트(p) 뛰어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다만 증권의 지난해 PF 대출 연체율은 2분기 17.28% 고점에서 3분기 13.85%, 4분기 13.73%로 내려가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속내를 들여다보면 전체 대출 잔액이 증가하면서 보인 일시적인 착시효과에 불과했다. 증권업의 부동산 PF 잔액은 2020년 5조2000억 원에서 2023년 7조8000억 원으로 크게 늘었다. 연체 잔액도 지난해 말 1조1000억 원까지 쌓였다. 2020년 2000억 원보다 무려 6배 가까이 늘어난 규모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의 연체율도 6.96%에 달했다. 2002년 2.34%에서 4.62%p 오른 수치다. 캐피털의 PF 대출 연체율은 4.76%를 기록했다. 전년(0.29%)보다 20배 이상 치솟아 상승률로는 금융 전체 업종에서 가장 높다.
시장에서는 이들 업권에 대해 연일 우려를 쏟아내고 있다. 금융당국에서도 “신속한 부동산 PF 연착륙”을 강조하며 전방위적인 조치에 나서는 중이다. 당장 금융당국과 저축은행은 이달 ‘2차 PF정상화 펀드’ 조성 등을 골자로 하는 ‘PF 정상화 방안’ 발표를 앞두고 있으며 부동산 PF 구조조정을 위한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도 유도하고 있는 상태다.
은행과 보험 등은 상대적으로 건전성 측면에서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부동산 PF 대출 규모가 워낙 큰 탓에 안심할 수 만은 없는 상황이다.
은행 역시 4년 간 부동산 PF 대출 규모를 꾸준히 늘여왔다. 2020년 26조1000억 원 규모였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46조1000억 원까지 확대됐다. 대출 잔액이 워낙 많다 보니 안정적으로 관리 됐던 연체율도 2020년 0.28%에서 지난해 0.35%로 악화됐다.
보험업종 상황도 비슷하다. 부동산 PF대출 잔액이 2020년 36조4000억 원에서 2021년 42조 원, 2022년 44조3000억 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소폭 감소했지만 연체율은 되레 올랐다. 2020년 0.11%였던 연체율은 2021년 0.07%로 떨어졌다가 2022년 0.6%로 올랐고 지난해에는 1.02%로 상승했다.
문제는 이들 금융사들의 부동산 PF 대출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금융당국이 상대적으로 자본력이 풍부하고 안정적으로 대출을 관리하고 있는 은행과 보험으로부터 신규자금을 유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서다. 현재 금융당국은 은행과 보험을 중심으로 신디케이트론(공동대출)과 같은 공동융자방식을 활용, 자금을 투입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금융당국에서는 참여 시 투입하는 신규 자금을 건전성 분류에서 ‘정상 여신’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센티브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투자 한도를 한시적 늘려주고, 금융사와 임직원에 대한 면책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도 살펴보고 있다.
금융당국의 각종 인센티브 제안에도 은행과 보험업계는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어려울 때 마다 은행에 손을 벌리는 상황이 매번 반복되고 있다”면서 “인센티브를 준다고 해도 사업성이 낮은 사업장에 무조건을 들어갈 수는 없는 상황이어서 부담이 크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