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탁계정대 1년새 88% 늘어 5조…고정 이하 81%, 정상적 회수 어려워”

입력 2024-05-02 17: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책준 기한 넘긴 PF 사업장 5조7000억 중 2조7000억 기한 임박
책준형 신탁계정대, 본PF보다도 후순위…1.4%→13.6% 대폭 늘어
'고정 이하' 책준형 사업장, 수도권 부실화가 더 심각...비주거비중 56%
수도권 인건비 상승, 자재 조달 등 공정지연, 책준 사업장 부실 심화

▲국토교통부가 19일 올해 1월 1일 기준으로 조사·산정한 전국 공동주택(아파트·다세대·연립주택) 1523만가구의 공시가격을 공개하고 내달 8일까지 소유자 의견을 받는다.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올해 전국 평균 1.52% 상승했다. 이는 2005년 공동주택 공시제도 도입 이후 2011년(0.3%), 2014년(0.4%)에 이어 세 번째로 낮은 변동률이다. 공시가격에 연동되는 부동산 보유세는 전반적으로 작년과 비슷한 수준인 가운데 서울 강남권을 비롯해 집값이 오른 단지는 보유세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이날 서울 여의도 63아트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부동산 신탁사가 보유한 국내 책임준공 관리형 토지신탁 PF잔액 규모가 24조8000억 원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가운데 금융지주들이 보유한 계열 부동산 신탁사 PF잔액 익스포저는 19조9000억 원으로 자기자본 대비 8배 이상 높은 익스포저를 보유하고 있다. 재무건전성이 크게 저하한 금융계열 부동산 신탁사들은 유상증자, 신종자본증권 발행 등으로 자본확충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책임준공 기한을 경과한 사업장들이 줄줄이 불어나면서 우발채무 위기감이 현실화되고 있다.

2일 나이스신용평가가 점검한 '부동산신탁사 책임준공 관리형토지신탁 리스크'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국내 시공사의 책준기한을 넘긴 PF 사업장 5조7000억 원 가운데 신탁사 책준기한을 넘겼거나 기한이 임박한 PF 규모는 2조7000억 원으로 추정된다. 책임준공형 토지신탁은 신탁사가 대주단에게 시행사가 공사를 완수하지 못할 경우 신탁사가 '책임지고 자금을 확보해 준공하겠다'고 약속한 상품이다. 2017년 이후 금융사를 중심으로 책준형 토지신탁은 부동산 신탁사의 주요 수익원으로 떠올랐다.

신탁사들의 자기자본 대비 신탁계정대 비율은 작년 말 13.6%로 증가했다. 2022년 말 1.4%에서 1년 만에 급속히 불어난 셈이다. 신탁계정대는 2022년 말 2조6000억 원에서 작년 말 4조9000억 원으로 88% 증가했고, 차입부채는 8000억 원에서 1조9000억 원으로 131% 늘었다. 신탁계정대는 시공사가 부도 등으로 인해 공사를 포기한 경우 공정률 GAP을 만회하기 위해 신탁사가 대신 투입한 자금이다. 상환 순위에서 책준형 신탁 계정대는 본 PF보다 후순위다. 특히 이중 81%가 '고정 이하' 자산으로 분류돼 향후 정상적인 대금 회수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문제는 '고정 이하'에서 수도권 사업장이 비수도권 대비 분양률과 공정률 GAP 모두 부실 위험이 크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고정 이하 책준형 사업장은 수도권이 75%, 비주거 비중이 56%로 부실화가 더 많이 진행됐다. 수도권의 예정 공정률 대비 실제 공정률 GAP은 11%로 비수도권(3%)보다 3배가량 웃돈다.

이는 증권사, 저축은행 PF의 PF 브릿지론 지연이 부동산 경기 둔화로 발생한 것과 달리, '공정 지연'이 책준 사업장 부실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일반적으로 공정이 예정 공사기간보다 크게 지연되는 경우, 수분양자의 분양 계약 해지 요구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책준 관리형토지신탁 공정 지연은 수도권 인건비 상승, 자재 조달 지연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책준형 시공사 중 BBB 이하 신용도 기업은 88%로, 차입형 시공사(75%)보다 약 13%p 더 높다. 차입형보다 책임준공형에서 신용도가 낮은 시공사들이 많다는 의미다. 최근 부동산 경기와 시장 유동성이 감소하면서 신용도가 열위한 책준형 시공사는 입찰 시점에 비해 늘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책준형 시공사 중에서는 시공능력평가순위 100위권 밖의 중소형 건설사가 83.8%를 차지한다. 이중 지난해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시공사는 30%를 웃돌고, 부채비율 300%를 넘는 시공사도 20% 이상이다.

부동산 신탁사들의 신탁계정대와 차입부채가 크게 증가하면서 실적도 악화하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부동산 신탁사들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2022년보다 63.5% 감소했다. 이중 무궁화자산신탁(-60억 원), 교보자산신탁(-295억 원), KB자산신탁(-841억 원) 등 3개사는 당기순손실을 기록했고, 코람코자산신탁(31억 원)은 간신히 적자를 면했다.

신탁사의 우발채무가 확대하면서 신용등급 우려도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2월 한국신용평가는 한국토지신탁의 신용등급을 기존 ‘A’에서 ‘A-’로 한 단계 강등했다. 한국토지신탁은 국내 부동산 신탁사 중 자본력이 가장 탄탄한 신탁사로 꼽힌다. 업계 1위 신탁사의 신용등급이 강등되면서 중소형 신탁사들의 신용도 하향 리스크도 확산하는 셈이다.

이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신속한 PF구조조정 추진과 관련해 "고금리 장기화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PF구조조정 지연은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며 "5월 초 PF 사업성 재평가 기준 발표 등 PF 연착륙 추진 과정에서 대내외 경제와 금융여건 변화가 가미되어 조금이라도 시장 불안이 나타날 경우에 대비해 관계기관과 협력체계를 공고히 해 나가야 한다"라고 주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