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총선 결과가 확정된 뒤 윤석열 대통령의 첫 반응은 “국민의 뜻을 겸허히 받들어 국정을 쇄신하고 경제와 민생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였다. 총선 참패와 싸늘한 민심은 대통령실의 변화로 이어졌고, 8번 고사했던 야당의 영수회담 제안에 급기야 먼저 손을 내밀어 영수회담을 성사시켰다. 9일에는 대국민 소통에 나선다.
이번 기자회견은 2022년 8월 취임 100일 회견 이후 1년 9개월 만이다. 무엇보다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3주 연속 하락세, 4주 연속 30% 초반대에 머무는 무거운 상황에서 이뤄지는 소통이다. 지지율 정체가 장기간 지속하는 것은 국정운영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윤 대통령에겐 이번 기자회견이 지지율을 밀어 올릴 기회다.
하지만 현안의 무게가 결코 가볍지 않다. 물가 등 민생경제 문제를 비롯해 채상병 특검법, 민정수석실 신설, 두 달째 답보상태인 의료개혁 등 산적하다. 채상병 특검법은 정국 뇌관으로 부상한 정치권 최대 현안이다. 영수회담으로 이룬 협치의 물꼬가 사흘 만에 산산조각난 중심에 채상병 특검법이 있다. 대통령실은 야당의 지난 2일 특검 처리 90분 뒤 ‘안타까운 죽음을 이용한 나쁜 정치’, ‘일방적인 입법 폭주’, ‘엄중 대응’ 같은 날 선 단어와 불편한 감정을 쉼 없이 쏟아냈다.
하지만 이번 기자회견에서 재의요구권(거부권)을 다시 한번 시사하는 데 대한 대통령실의 부담감은 만만치 않을 것이다. 민주당에선 윤 대통령의 채상병 특검 수용 여부를 ‘총선 민심 수용의 바로미터’라는 프레임으로 규정하고 있다. 채상병 특검법을 거부하는 것은 민심을 무겁게 받아들이지 않는 것으로 해석하겠다는 뜻이다. 이런 프레임으로 지속적인 맹공이 이어지면 쇄신이 최대 과제인 윤 대통령으로선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윤 대통령이 국민과의 소통에서 채상병 문제를 어떤 논리와 설득으로 풀어나갈지 초미의 관심사인 이유다.
영수회담 당시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김건희 여사 문제도 이번엔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2월 7일 KBS 특별대담에서 김 여사의 명품 가방 수수 의혹과 관련해 “대통령이나 대통령 부인이 어느 누구한테도 이렇게 박절하게 대하기는 참 어렵다”며 해당 사건을 ‘공작’으로 봤다. 관련 영상이 지난해 11월 공개된 이후 윤 대통령의 첫 입장 표명이었다. 하지만 이번 영수회담에선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국정 운영에 큰 부담이 되고 있는 가족 등 주변 인사들의 의혹들도 정리하고 넘어가면 좋겠다”고 언급했음에도 윤 대통령의 관련 대답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국민으로선 의혹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는 셈이다.
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김 여사 특검법을 발의한다고 예고해 왔다. 최근 검찰은 이원석 검찰총장 지시로 김 여사 명품가방 수수 의혹 사건 수사 전담팀을 꾸려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번 기자회견은 윤 대통령이 집무실에서 지난 2년간의 국정운영 기조 설명과 앞으로 3년간의 계획을 전한 뒤 브리핑룸으로 이동해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주고받는 식으로 이뤄진다. 뻔한 질문보다는 국민이 궁금해하시는 부분으로 준비하자는 게 윤 대통령의 당부다.
쇄신은 묵을 것을 버리고 새롭게 바뀐다는 의미다. 윤 대통령이 진짜 새롭게 바뀌려면 이번 기자회견을 통해 불통의 이미지를 확실히 털어내야 한다. 진정성과 공감을 담고, 묵은 의문점을 하나하나 해소하는 각오로 임해야 할 것이다. 윤 대통령이 뻔한 질문을 거부하듯, 국민도 뻔한 대답을 거부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