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주택 인허가 7만4558건 그쳐
중국ㆍ일본 철강재 수입 6년 만에 최대
철강업계 “시설투자, 고부가 강종 개발”
철강업계가 건설경기 부진 장기화로 어려운 상황에서 중국산 저가 제품 유입, 역대급 엔저 등 새로운 암초를 만났다. 글로벌 업황 악화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 속에 국내 철강사들이 위기 돌파를 위해 고부가가치 사업 확장에 나섰다.
7일 본지 취재에 따르면 포스코홀딩스, 현대제철, 세아베스틸지주 등 3사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6631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1조1102억 원)보다 40.3% 줄어든 규모다. 매출 또한 7.2% 감소한 24조9529억 원을 기록했다.
현재 건설 선행 지표로 인식되는 건설 수주와 건축 허가, 착공, 분양 등 모든 지표는 부진을 이어가고 있다. 1분기 주택 인허가는 7만4558건으로 전년(9만6630건) 동기 대비 22.8% 줄었다.
여기에 중국과 일본의 제품이 대거 쏟아지면서 철강업계의 시름을 더하고 있다. 한국철강협회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산과 일본산 철강재 수입은 각각 873만 톤(t), 561만 톤으로 2017년 이후 최대 수입량을 기록했다. 중국산 제품의 경우 싼값에 국산 품질을 따라잡기 시작해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역대급 엔저로 철강재 수출 경쟁력 저하도 우려된다. 지난달 29일 아시아 외환시장에서 엔ㆍ달러 환율은 1990년 4월 이후 34년 만에 처음으로 달러당 160엔을 넘기도 했다. 같은 날 원ㆍ엔 재정환율은 한때 860원대까지 내려갔다.
철강사들은 불황 장기화에 대비해 설비 투자 및 고부가가치 제품 기술 개발에 매진하며 미래 성장동력 마련에 공을 들이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올해 시설투자를 10조8000억 원 수준으로 책정했다. 이는 전년 대비 2조2000억 원 늘린 규모로 철강 사업에 4조500억 원을 투자한다. 전기로 투자, 고급제품 전환, 광양 4고로 개수 등에 사용한다. 이차전지소재에는 양극재, 리튬, 니켈 순으로 4조6000억 원을 사용한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글로벌 공급과잉, 경제 블록화 등으로 어려운 철강 시황을 돌파하기 위해 매년 1조 원 이상의 원가 절감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원가의 구조적 혁신을 추진하고 철강 설비를 효율화할 방침이다.
현대제철은 2조 원대 시설투자와 고부가 강종 개발을 통해 위기를 돌파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설비 투자에 1조2683억 원을 집행했는데 올해엔 2배가량 규모가 늘어났다.
현대제철은 3분기 완공을 목표로 미국 조지아에 전기차 전용 스틸 서비스 센터(SSC)를 건설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 전기차 판매 확대에 따른 강판 수요에 대응하고 현지 판매 기반을 확보에 나선다. 에너지 시장 성장에 따른 고부가 후판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당진 1후판공장 열처리로 증설 투자를 올해 말까지 완료하고, 제품 판매를 확대할 예정이다.
세아베스틸지주는 품질, 납기 등 경쟁우위 요소를 활용한 수주 활동 전개 및 탄력적 생산 대응에 나선다. 원자력ㆍ항공ㆍ수소 사업 등 미래 수요산업에 특수강ㆍ특수금속 소재 공급 확대를 위한 연구ㆍ개발(R&D)에 집중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