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석유 분야로 사업영토 확장 시도中
"일본과 유사한 방향으로 사업재편"
롯데와 LG그룹의 경영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석유화학(석화) 사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탓이다. 수익성과 현금 창출력이 약화할 경우 이들의 신용등급 하향 조정 가능성마저 제기됐다.
8일 김서연 NICE신용평가 기업평가본부 수석연구원은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NICE신용평가 크레딧 세미나에서 "2020년을 기점으로 석유화학 산업의 장기 우상향 추세가 종료할 가능성이 커졌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국내 대표 수출 산업 가운데 하나인 석화 업종은 △원료 경쟁력 하락 △중국의 설비 증설 등의 영향으로 수년간 실적 악화의 길을 걷고 있다. 원료 전량을 수입하는 데다 자급력 부족ㆍ고유가 지속 등이 얽히면서 그동안 현금창출원으로 여겼던 'NCC 설비 경쟁력'도 악화했다.
결국, 2020년 시작한 석화사의 신용등급 조정은 지난해 본격화했다. 이 기간 신용등급이 강등된 기업은 △SK이노베이션(AA+→AA) △SK에너지(AA+→AA) △SK지오센트릭(AA→AA-) △SKC(A+·안정적→부정적) 등이다.
이와 관련해 김 연구원은 "국내 석화 업계 역시 이를 인지하고 정밀화학 등 다운스트림 제품과 비석유 화학 분야로 사업영토 확장을 시도 중"이라며 "그런데도 신규 사업의 이익창출력은 중단기적으로 제한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무엇보다 전기차 배터리와 태양광 분야 수익성이 부진했다. 자체 투자재원 확보에 따른 부담과 차입금 규모가 증가하는 가운데 신규 산업의 경쟁력 역시 불확실했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중국은 주요 기반 시장 가운데 하나였으나 자급률 제고 정책에 따라 수출 규모가 위축할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인도와 동남아 시장은 잠재성장률이 높은 반면, 중국보다 절대 규모가 미미하고 한국 설비의 원가 경쟁력이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국내보다 먼저 석화 산업의 변곡점을 맞았던 미국과 일본은 좋은 사례다. 특히 일본과 유사한 방향으로 재편될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 주도의 소규모 설비 통합, 유휴설비 매각 등 구조조정을 단행하는 방식이다.
앞서 일본은 2010년대 이후 전체 설비의 10%에 달하는 노후설비 가동을 전면 중단했다. 그 결과 일본 2020년 이후 범용 시황이 둔화했음에도 △석유화학 △스페셜티 △헬스케어 △비화학 등 부문별 영업이익률이 안정적 흐름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룹별 신용도를 살펴보면 배터리와 석유화학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해온 SK그룹의 리스크가 가장 높았다. 지난해 SK그룹은 반도체 업황 위축으로 SK하이닉스의 대규모 영업적자가 발생하면서 적자 규모는 2조7000억 원에 달했다.
최근 반도체 회복으로 그룹 실적은 반등하는 추세다. 반면 배터리와 화학 부문의 실적은 여전히 저조한 수준으로 차입금 규모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SK그룹의 차입금은 지난해 말 117조 원으로 2019년과 비교해 2배 넘게 늘었다.
시설설비(CAPEX) 이외 지분 투자도 15조 원을 넘었다. SK그룹은 과거 저금리 시기 RCPS와 메자닌 발행 등을 활용해 지분 투자 자금으로 활용해왔다. 다만 여러모로 자금을 조달해 투자 자금에 대응했음에도 이익창출력은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신호용 NICE신용평가 책임연구원은 "SK이노베이션과 SKC는 모두 EBITDA를 웃도는 투자를 지속하며 차입금 규모가 최근 들어서 크게 늘고 있다"며 "특히 2022년 이후로는 양사 모두 이익 창출력이 둔화하고 있어서 투자 부담은 상대적으로 더 매우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전기차 성장률이 둔화하는 점도 SK그룹의 단기간 내 실적 개선을 제한하는 부분이다.
SK온은 AMPC 효과로 수익성 개선이 예상되지만, 기업공개(IPO)를 위해 자본 조달 규모도 확대하고 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는 자본조달이 어려워 SK온보다 재무안정성이 더 빠르게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NICE신용평가는 SK그룹의 신용도 조정이 석유화학 부문의 실적 저하에서 나타난 점을 검토하며 "그룹 전체적으로 보자면 투자 수요로 인한 이익창출력 대비 높은 채무 부담이 지속한 것으로 본다. 향후 배터리 부문의 실적 개선 가능성과 반도체 투자 부담 추이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