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안나 책글사람 대표·사회복지사
남부러울 것 없는 가정을 가꾸던 수전은 삶의 허망함을 느끼게 되고, 가족에게 벗어나 혼자이고 싶지만, ‘집’이라는 공간에서 수전은 온전히 혼자일 수 없죠. 수전은 자기를 아무도 모르고 아는 척하지 않는 런던의 후미진 호텔 19호실로 갑니다. 그곳에서 하루종일 의자에 앉아있다 집에 오는 수전을 남편은 이해하지 못하고, 바람을 핀다고 의심하지요. 그렇지만 수전은 본인이 19호실에서 무엇을 하는지, 왜 그러는지 설명하지 않습니다.
이 책을 읽으며 몇 년전 읽었던 헨리크 입센의 ‘인형의 집’, 조남주의 ‘82년생 김지영’,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이 생각났습니다. 헨리크 입센은 ‘인형의 집’에서 주인공이 결혼 전에는 아버지의 인형이였고, 결혼 후에는 남편의 인형으로 살았다고 말합니다. 한 사람으로 삶을 살지 못했다고 말이죠. 버지니아 울프는 1929년작 ‘자기만의 방’에서 여자에게 “자기만의 방과 연금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도리스 레싱의 1994년작 ‘19호실로 가다’의 수전은 크고 좋은 집에서 인형 같은 사람으로 살다가, 자기만의 방을 후미진 호텔의 19호실로 가졌습니다. 19호실에 앉아서 숨만 쉬고 있던 그녀는 어떤 생각을 했을까요? 왜 그녀는 그곳에서 마지막 숨을 거두었을까요? 조남주 작가는 2016년작 ‘82년생 김지영’에서 왜 “세상이 참 많이 바뀌었다. 하지만 그 안의 소소한 규칙이나 약속이나 습관들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세상은 바뀌지 않았다”라는 말을 할까요?
왜 나라가 다르고 시대가 다르지만 결혼을 하고 자녀를 낳아 키우는 여성의 서사는 비슷할까요? 남녀 차별을 금지하는 법안이 제정되고 성평등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제도적 차별이 사라진 시대에도, 존재하는 내면화된 성차별은 오늘날도 유효합니다. 그래서 오늘, 수전의 19호실이 생각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전안나 책글사람 대표·사회복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