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 수장, 요금 정상화 필요성 강조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가 1분기 이자 비용으로만 1조5000억 원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요금 정상화가 없다면 올해 이자 부담만 5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양사 재무제표에 따르면 한전은 1분기 1조1500억 원을, 가스공사는 4100억 원의 이자 비용을 부담했다.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국제 에너지 위기로 2022년 이후 원가에 못 미치는 가격에 전기와 가스를 공급한 결과다.
지난해 말 기준 한전과 가스공사의 연결 기준 총부채는 각각 202조5000억 원, 47조4000억 원으로 이를 합산한 부채 규모는 사상 최고치인 250조 원에 달한다.
올해 3월 말 기준 한전과 가스공사의 총부채는 각각 200조9000억 원, 46조9000억 원으로 소폭 줄었지만, 재무 위기 상황은 여전하다.
두 회사가 올해 1분기에 부담한 이자는 하루 평균 167억 원에 달한다. 이런 추세라면 한전과 가스공사는 올해 한 해 4조∼5조 원을 이자로 지불할 수도 있다.
한전과 가스공사는 지난해 각각 4조4500억 원과 1조6800억 원 등 총 6조1300억 원을 이자 비용으로 지출했다.
한전과 가스공사는 지난해부터 비핵심 부동산 매각, 투자 시기 이연, 임직원 급여 반납, 명예퇴직 등 다양한 자구 노력에 나섰지만, 유의미한 수준으로 부채가 줄지는 않고 있다.
한전은 지난 2022년 이후 6차례의 전기요금 인상 덕에 '역마진' 구조에서는 벗어나 작년 3분기 이후 3개 분기 연속 영업이익을 기록했지만 2021∼2023년 원가 밑 가격으로 전기를 팔아 쌓인 43조 원 대의 누적 적자는 그대로다.
가스공사 역시 2022년 이후 약 40%의 민수용 도시가스 요금 인상에도 여전히 원가의 약 80%만 받고 가스를 공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가스공사에 따르면 2022년 이후 국제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은 약 200% 상승했지만, 국내 가스요금은 약 43% 인상되는 데 그쳤다.
현재 가스공사의 민수용 도시가스 미수금은 13조5000억 원이다. 미수금은 원가에 못 미치는 가격으로 가스를 공급한 뒤 원가와 공급가의 차액을 향후 받을 '외상값'으로 분류한 것으로 사실상 영업손실이다.
한전과 가스공사 입장에서는 영업으로 벌어들인 돈을 고스란히 이자 비용으로 내고 있는 셈이다.
양사 수장은 요금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한전의 노력만으로는 대규모 누적적자를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는 한계에 봉착했다"라며 "최후의 수단으로 최소한의 전기요금 정상화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연혜 가스공사 사장 역시 기자들과 만나 "현재 미수금 규모는 전 직원이 30년간 무보수로 일해도 회수가 불가능해 마치 벼랑 끝에 선 심정"이라며 "극단적 상황을 막기 위해 모든 수단을 가동하고 있으나 자구 노력만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해 안정적 가스 공급을 위해서는 조속한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