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는 경제성장·기업공익활동·밸류업에 부정적 영향”
높은 상속세율로 기업투자 위축 및 민간소비 감소 우려
경제계가 상속세 제도의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 현재 한국 상속세 최고세율은 50%인데 최대주주 할증 과세 시 실제 상속세율은 OECD 38개국 중 1위인 60%에 달한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26일 ‘한국경제, 이대로 괜찮은가’ 시리즈의 첫 주제로 발표한 ‘상속세제 문제점 및 개선방안’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의 현 상속세제는 부의 재분배 보다는 경제 역동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대대적인 손질이 불가피하다”며 “1996년 40%에서 2000년 50%까지 지속 인상된 상속세율을 인하하고 기업이 출연한 공익법인의 상증세(상속ㆍ증여세) 부담을 완화하는 등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상의는 국내 기업 경영자들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앞으로 수년 내 상속 세제의 방향이 한국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기업 경영자의 연령을 분석한 결과 평균 연령 60세 이상인 공시 대상 기업집단은 79.5%, 중소기업(제조업)의 경우 33.5%에 달했다.
보고서는 기업투자 위축과 저성장 고착화가 우려되는 현 상황에서 상속세 부담이 완화된다면 기업은 새로운 도약 기회를 가지는 변곡점을 맞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한상의는 여러 국내외 전문가들의 연구를 인용하며 높은 상속세율이 직접적으로 기업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저해하여 경제성장을 제약한다고 지적했다.
송헌재 서울시립대 교수가 1965년에서 2013년까지의 OECD 자료를 바탕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GDP 대비 상속세수 비중이 클수록 민간투자가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상속세수가 1조 원 늘어날 때 경제성장률은 0.63%포인트(p) 줄어들었다.
또한 1990년부터 2006년까지 OECD 38개국의 1만 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엘륄’(2010)의 실증분석에 의하면 가업상속세율이 높을수록 해당 기업 투자가 감소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투자는 정체되는 반면 상속세 및 증여세 징수액은 1997년 1조5000억 원에서 2022년 14조6000억 원으로 9.7배로 증가한 것으로도 나타나, 대한상의는 상속세 부담으로 기업 투자가 더욱 지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가 ‘대한상의 소통플랫폼(소플)’을 통해 국민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상속세 제도개선방향 국민인식 조사’에서 상속세가 투자와 일자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묻는 설문에도 국민 10명 중 6명이 도움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대한상의는 상속세가 투자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국민도 인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1997년 이후 계속 물가가 올랐음에도 상속세 공제액은 그대로이며 최근 5년간(2017~2021년) 상속세 피상속인(사망자)은 6986명에서 1만2749명으로 82% 늘었다. 이에 상의는 피상속인 한 명에 상속인(사망자 유족)은 여러 명임을 고려할 때 상속세에 영향을 받는 가구 수는 크게 늘어 민간소비가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소플 조사에서도 국민 10명 중 7명이 상속세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상속세 인하는 기업의 혁신 활동에도 큰 영향을 줘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중소기업 전문 연구기관인 파이터치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제조업, 정보통신업 등 혁신산업에 속한 기업의 가업상속세율을 30%p 인하하면 실질 GDP는 6조 원 증가하고 일자리 3만 개가 창출될 것으로 추정된다.
대한상의의 보고서는 우리나라 상속 세제가 기업의 공익활동을 저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10여 년간 우리나라 기부문화가 위축되고 있음에도 현행 상증세법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 공익법인에 주식 출연 시 상속세 면세한도를 5%, 그 외에는 10~20% 제한하고 있다. 이는 대다수 국가들이 공익법인에 주식을 출연하는 경우 상속세를 완전 면세하는 제도를 두고 있는 것과 대조된다.
특히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 공익법인은 보유주식에 대한 의결권까지 제한받고 있다. 해당 공익법인은 공정거래법에 의해 국내 계열회사 주식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음에도 여전히 상증세법은 면세한도를 5%로 제한하고 있어 ‘이중규제’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대한상의는 소플의 ‘상속세 제도개선방향 국민 인식 조사’에서 국민의 75%가 기업 공익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국민들도 기업의 공익활동에 대해 과도한 규제를 완화할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 공익법인 수는 2020년 최대 4만1544개에서 2022년 3만9273개로 감소했다. 이에 대한상의는 공익법인 출연 주식의 상증세 면세한도를 1990년 이전과 같이 전면 폐지해야 하며 단기적으로는 의결권을 행사하는 주식은 면세한도를 현행 10%에서 20%까지로 확대하고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을 주식은 현행 20%에서 35%로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한상의는 기업의 밸류업에도 상속세가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대 60%의 상속세율을 적용받는 현행 제도에서는 기업 가치가 증가(밸류업)하는 것보다 상속세 납부재원을 마련하는 것이 최대주주에게 더 높은 효용을 주기 때문에 밸류업을 할 이유가 적다고 언급했다.
한편 상속되는 주식은 시가로 평가하고 있어 기업 가치가 증대될수록 납부해야 할 상속세 부담은 커진다.
대한상의는 우리나라의 상속세는 여러 경제주체들의 행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제왜곡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대대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단기적으로는 △OECD 평균수준인 15%로 상속세율 인하 △유산세 방식의 유산 취득세 방식으로의 전환 △최대주주 할증과세 폐지를 요구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상속세 폐지 △제3자에 자산을 처분할 때까지 과세를 이연하는 자본이득세로 전환해 경제활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제도혁신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상속세를 폐지하고 자본이득세로 전환한 나라는 OECD 38개국 중 4개국으로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스웨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