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수명 증가, 실질금리 하락에 가장 큰 영향”
“인구 고령화 등에 따른 안전자산 수요 확대, 장기 중립금리 하락 요인”
한국은행이 30일 개최한 ‘2024년 BOK 국제컨퍼런스-중립금리의 변화와 세계 경제에 대한 함의’에서 브라질 중앙은행 부총재를 역임했던 카를로스 비아나 데 카바요르(Carlos Viana de Carvalho)를 비롯한 연구진은 “노동인구 증가율의 하락, 기대수명 증가는 실질금리 하락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글로벌 금리도 지배적인 결정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발표했다. 실질금리는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금리 수준을 말한다.
연구진은 “고령화된 국가의 실질금리가 젊은 국가보다 낮은 수준에서 형성됐다”며 “자국 기대수명 증가가 실질금리 하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자본이동이 활발할수록 실질금리는 글로벌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국가 간 수렴하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밖에도 노동인구 증가율, 총요소생산성, GDP 대비 연금액, 정부부채, 정부지출, 은퇴 연령증가는 모두 실질금리를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했다”고 부연했다.
연구진은 “노동인구 비중 감소는 금융위기 이후 중립금리의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며 “미국의 경우에는 2010년대 후반 이후 생산성 추세가 상승 전환하여 장기 중립금리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연구진은 “장기 중립금리는 자국 생산성 추세, 인구구조뿐만 아니라 글로벌 안전자산의 수급 및 교역 상대국의 기초여건 변화 파급효과(global spillover)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