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의식 공유하고 협력 방안 찾아
구조조정·스페셜티 전환 성공한 일본
국내 석유화학 생존 전략 유효할까
중국발 공급 과잉에 시름하는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친환경 고부가가치(스페셜티) 제품 중심의 사업 재편에 속도를 낸다. 앞서 사업 구조조정을 겪은 일본의 사례를 참고해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전략이다.
지난달 30, 31일 이틀간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아시아석유화학회의(APIC)에서는 석유화학 업계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들이 논의됐다. 아시아석유화학회의는 한국, 일본, 대만, 말레이시아, 태국, 싱가포르, 인도의 석유화학협회가 참여하는 세계 3대 석유화학 콘퍼런스다.
한국과 일본 석유화학 업계도 머리를 맞댔다. 31일 오후 진행된 비공개 회의에는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이훈기 롯데케미칼 대표, 남이현 한화솔루션 케미칼부문 대표와 일본 석유화학협회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석유화학 업계의 고민을 공유하고 탄소 중립과 관련한 양국의 협력 방안 등을 다룬 것으로 알려졌다.
이훈기 롯데케미칼 대표는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중국 공급 과잉에 대한 대응, 탄소 중립에 대한 업계 공동의 노력 등에 대한 각국 사례 의견 교환을 했고, 향후 협조를 구했다”고 말했다.
케이치 이와타 일본 석유화학협회장도 개회사에서 “지속되는 과잉 공급과 수익성 하락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2050년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화학 산업의 책임이 막중하다”며 “2030년까지 탄소 감축을 위한 기술을 확보하고, 궁극적으로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장기적인 노력과 함께 국경을 초월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본 석유화학 산업도 우리나라와 비슷한 위기를 지나왔다. 1990년 일본의 에틸렌 생산능력은 590만 톤(t)으로, 단일 국가 기준 미국 다음으로 규모가 가장 컸다. 그러나 내수 시장이 침체하고, 중동과 한국ㆍ대만 등 아시아 신흥국들의 나프타분해시설(NCC) 증설이 시작되면서 경쟁력을 빠르게 잃어갔다. 2022년 말 기준 일본의 에틸렌 생산능력은 사우디아라비아ㆍ한국ㆍ인도에 밀려 7위까지 떨어졌다.
우리나라 역시 중국의 증설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한국석유화학협회에 따르면 국내 NCC 평균 가동률은 2021년 93.1%, 2022년 81.7%에서 지난해 74%까지 하락했다. 범용 제품 비중이 큰 국내 석유화학 업체들의 적자가 길어지고 있고, 2025년이면 중국의 자급률이 100%를 넘길 것이란 우울한 전망도 나온다.
일본은 범용 부문을 통ㆍ폐합해 미쓰비시화학, 미쓰이화학 등 소수 기업 중심으로 생산 구조를 재편했고, 동남아시아 시장으로 보폭을 넓혔다. 아시아 수출 비중은 2010년 3% 수준에서 지난해 18%까지 증가했다. 전체 매출에서 내수가 차지하는 비중도 50% 아래로 떨어졌다. 헬스케어, 전자소재 등 새로운 먹거리를 확보해 산업 사이클(주기) 영향을 낮추고 수익성을 높였다.
국내 기업들도 과거 일본과 비슷한 전략을 펴고 있다. 중국이 장악한 범용 부문을 축소하고,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것이다.
LG화학은 내년까지 친환경소재ㆍ전지소재ㆍ신약 등 3대 신성장동력에 총 10조 원을 투자하고, 2030년까지 3개 부문에서 매출 30조 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그동안 산업 사이클에 따른 성장을 예상하고 범용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에 집중해 왔지만, 급격한 대외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워졌다”며 “저탄소 기반의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의 기술 전환이 절대적”이라고 했다.
롯데케미칼은 사업 포트폴리오를 기초화학ㆍ첨단소재ㆍ정밀화학ㆍ전지소재ㆍ수소에너지 등 5개로 나누고 수익성이 낮은 기초소재 비중을 축소할 방침이다. 지난해 중국에서 범용 제품을 생산하는 자회사를 정리한 데 이어 고순도테레프탈산(PTA)을 생산하는 파키스탄 법인 매각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금호석유화학은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에 힘을 싣는다. 2022년 말 친환경·고성능 타이어에 사용되는 합성고무 제품 솔루션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S-SBR) 증설을 마무리했고, 전기차 시장 상황을 고려해 추가 증설도 검토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과 추진하는 탄소나노튜브(CNT) 합작사 계획도 연내 발표할 예정이다.
DL케미칼은 하반기부터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신규 공장을 가동한다. 폴리이소프렌 라텍스는 수술용 장갑에 쓰이는 합성고무 소재다. 김종현 DL케미칼 대표는 “국내 사업도 스페셜티로 전환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범용 제품으로는 결국 어렵지 않겠나”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일본 사례를 그대로 쫓아가긴 어렵다고 지적한다. 지난 30년 간 신사업과 연구개발(R&D)에 꾸준히 투자해왔던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는 업황 부진이 길어진 탓에 자금 여력이 충분치 않다는 것이다.
전유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2~3년 동안의 불황으로 낮아진 이익 체력과 신사업 투자 확대 등으로 높아진 차입금을 줄이며 재무구조를 개선시키는 것이 생존에 있어 더 급선무일 수 있다”며 “현시점은 고부가 제품 포트폴리오 확보를 위한 집중보다는 중장기적으로 그 부문에 투자할 수 있는 재무구조 개선과 현금 확보에 대한 구체적 액션이 필요한 시기”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