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硏 “올해 경제성장률 2.2→2.7% 조정…수출 주도 성장 예상”

입력 2024-06-06 11:00수정 2024-06-06 15: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외 기관 전망치 2.3~2.6%보다 높아…JP모건 2.8% 예상
민간소비 2.2→1.7% 낮춰…경상수지 520억→610억 달러
“수출 주도 성장, 수출-내수의 경기 격차 지속될 전망”

▲연초 장당 100원을 밑돌던 김 소매가격이 계속 오름세를 이어가다 지난주 130원을 돌파했다. 29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가격정보에 따르면 마른김(중품) 10장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 26일 1304원을 기록했다. 전통시장 가격은 1193원, 유통업체 가격은 1513원이다. 마른김 10장 평균 소매가격은 1년 전과 비교하면 29% 올랐고 1개월 전보다도 12% 상승했다. 도매가격은 1년새 58% 올랐다. 김 가격 상승은 김 수출이 늘어 국내 공급이 줄었기 때문으로 지난해 김 수출 중량은 3만5446톤으로 1년전보다 16% 증가했으며 2020년 이후 3년 만에 42% 늘었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김이 판매되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대폭 상향 조정했다. 수출 성장은 지속되는 반면, 내수 회복 속도는 더딜 것으로 예상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6일 ‘2024년 한국 경제 전망(수정)’ 보고서를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을 2.7%로 예상했다. 1월에 전망했다. 2.2%에서 0.5%포인트(p) 올린 것이다.

이는 국내 국책·금융연구기관, 해외 기구과 비교했을 때 높은 수준이다. 국내 국책·금융연구기관들의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보면 △한국은행·산업연구원·한국금융연구원 2.5% △한국개발연구원(KDI) 2.6% 등으로 예상했다. 해외 기구들은 △국제통화기금(IMF) 2.3%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6% 등으로 내다봤다. 현대경제연구원보다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높게 전망한 곳은 2.8%를 제시한 JP모건이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4월 산업활동동향과 5월 수출이 예상보다 좋았다”며 “2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지 않으면 2.7%를 달성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1월과 비교했을 때 민간소비는 2.2%에서 1.7%로 대폭 낮췄다. 건설투자는 0.5%에서 0.1%로 하향 조정한 반면, 설비투자는 1.5%에서 3.8%로 올렸다. 연간 경상수지 규모는 520억 달러에서 610억 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수출증가율은 9.3%로 동일한 반면, 수입증가율은 2.8%에서 0.8%로 하향 조정했다.

연구원은 우리나라 경제가 수출이 경기 회복을 견인하는 수출 주도의 성장 구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까지 수출-내수 경기의 격차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연구원은 “수출 회복세가 강화되면서 제조업 중심의 경제 활력이 높아지고, 그동안 재고조정을 통해 시장 수요 확대에 대응했던 부분이 한계에 봉착하면서 생산능력 확충을 위해 설비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반면 내수(민간소비와 건설투자)는 고물가·고금리의 영향으로 경기 회복이 지연되거나, 회복 국면으로 진입하더라도 회복 속도의 가속화가 진행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2024년 한국 경제가 2%대 중반 수준으로 높아지는 것은 대외 여건 개선에 따른 수출 경기 회복을 전제로 한다”며 “예기치 못한 글로벌 경제의 충격이 발생하거나 지정학적 리스크가 심화될 경우 한국 경제는 다시 2%대 초반의 경제 성장 경로로 내려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연구원은 연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기존 전망과 같은 2.7%로 예상했다. 상반기(3.0%), 하반기(2.4%) 전망도 동일했다.

연구원은 “상반기 공급측 인플레이션 압력이 하반기에 들어 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국제 유가, 국제 원자재 가격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기는 하지만, 시장에 특별한 상승 요인이 존재하지 않아 공급측 물가 상승 압력의 완화가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수입물가를 높이는 원인 중 하나인 원·달러 환율의 하락 전망도 물가 상승 압력을 낮추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기술적으로 물가 수준에 대한 기저효과(2023년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의 상고하저)가 크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물가상승률은 점진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부연했다.

다만 기대인플레이션 심리가 여전히 높은 수준인 점을 주목했다. 연구원은 “서비스 물가가 안정되지 못하는 점 등으로 고물가가 빠르게 잡히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