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자동차산업 보호 명분 들어 보편적 관세 대상 국가에 한국 포함 예상"
"수출국 다변화로 미국 의존도 줄이고 탄소중립 기술경쟁력 확보해야"
11월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당선돼 재집권한다면 한국 자동차 산업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이에 50%에 육박하는 자동차 산업 수출의 미국 비중을 동남아시아와 중동, 동유럽 등 다양한 시장으로 분산해 미국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는 조언이다.
산업연구원은 10일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자동차산업 관련 주요 제도 및 여건 변화를 전망하고, 향후 우리 자동차산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한 '미국 대선에 따른 한국 자동차산업의 영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먼저 우리 자동차 산업이 미국 시장에 매우 의존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한국 자동차 수출은 지난해 1082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 중 미국 비중이 47.3%로 의존도가 절대적이다. 특히 완성차의 경우 50.6%로 이미 50%를 넘어섰고 전기차 역시 미국 비중이 45.5%에 달한다.
전기차 수출은 그 성장세가 더 눈에 띈다. 우리나라는 2019~2023년 56.2%의 연평균 수출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으나, 대미(對美) 수출 증가율은 같은 기간 88%에 달했다.
미국은 수출뿐만 아니라 해외 생산에서도 중요도가 상당하다.
올해 1분기 현대·기아자동차의 전체 해외 생산에서 미국 비중이 20%를 웃돌았으며, 이 비중은 지속해서 늘고 있다.
현대·기아자동차는 지난해 국내에서 355만 대, 해외에서 368만 대 등 총 723만 대를 생산했는데, 이 중 165만 대가 미국 시장에서 판매돼 46.5%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미국 자동차 시장의 상황 변화는 우리 자동차 산업에 매우 큰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라며 "전문가들은 미국의 대선 결과가 자동차 시장에도 큰 변화를 미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는 누가 대선에서 승리하느냐에 따라 친환경 자동차 정책과 해외 수입 자동차 관련 정책, 해외 시장 진출을 확대하는 중국 자동차에 대한 정책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바이든이 재집권하는 경우 환경규제로 미국 내 전기차 수요가 늘면서 경쟁우위를 지닌 한국업체의 전기차 판매도 호조가 예상되는 등 우리 산업에 지속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반면, 트럼프 재집권 시 대미 자동차 수출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우리 자동차산업은 지난해 289억 달러의 대미 무역흑자를 기록했는데 트럼프 재집권 시 미국 자동차산업 보호 명분으로 보편적 관세 대상 국가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추가 관세 부과 시 수출 물량이 현지생산 물량으로 대체되면서 자동차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공급망에 있어서도 양자 모두 중국을 배제하지만, 바이든은 동맹과의 협력을 통해 세부적으로 추진 중으로 전기차 공급망에서 우리 기업의 역할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트럼프는 관세와 같은 수단으로 자국 내 조달을 강화하는데 주안점을 둘 것으로 보이며, 우리 기업은 미국 현지생산으로 공급망을 조정하는 등으로 전략을 수정할 것으로 예상했다.
바이든과 트럼프 공약 중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환경규제이다. 보고서는 트럼프 재집권으로 전기차 수요 감소가 지속할 경우 우리 업체는 신규 공장을 하이브리드차 등으로 전환해 수요에 대응할 것으로 봤다.
보고서는 트럼프 재집권에 따른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시장을 동남아와 중동, 동유럽 등 다양한 시장으로 분산해 특정 시장 종속에 따른 불안정성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한 미국 수입 시장에서 수출 및 현지생산을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이번 미 대선 국면을 보면, 친환경 정책에 대한 견해에 따라 전기차 등 어느 한쪽으로 전략을 집중하는 것은 위험이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라며 "친환경 자동차 전략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탄소중립 기술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한 전기차 외에 하이브리드차, 수소전지차, e-fuel 등 다양한 탄소중립 기술경쟁력 확보를 통해 규제, 시장, 공급망 등의 요인에 따라 변화되는 주도 기술 변화에 대응해야 하는 것은 물론, 전기자동차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는 정책이 강화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자체 공급망 혹은 우리 기업이 주도하는 공급망 구축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